FLT3의 기능 변이 손실,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위험 크게 높인다
디코드 제네틱스, 네이처 논문 발표…환자 3만명 대상 분석 결과 84개 염기서열 변이 새롭게 발견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과 관련 있는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84개가 새롭게 발견됐다. 특히 FLT3 정지 돌연변이는 FLT3 리간드 수준을 증가시키고 이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젠(Amgen) 자회사 디코드 제네틱스(deCODE genetics)는 아이슬란드 의료보험, 아이슬란드 대학 및 스웨덴 카롤린스카(Karolinska) 연구소와의 공동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고 24일(현지시간) 밝혔다. 이 연구는 아이슬란드와 영국에서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환자 3만명 이상과 대조군 725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autoimmune thyroid disease, AITD)은 가장 흔한 자가면역 질환이며, 유전성이 높다. 연구팀은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과 관련된 99개의 서열 변이를 찾아냈고, 이 중 84개가 처음으로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새롭게 발견된 서열 변이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