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 잇는 의료계 악재에 김택우 의협회장 책임론 부상…'범대위로 내부 결속 VS 비대위로 새판'
13일 비대위 구성 임총개최안 발의 예정…집행부는 범대위로 대응 전략
대한의사협회 김택우 회장 모습.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대한의사협회 김택우 회장 집행부가 위기에 몰렸다.
최근 성분명처방 의무화 법안, 검체 검사 위수탁 제도 변경, 한의사 엑스레이(X-ray)사용 의료법 개정안, 의사파업금지법 등 의료계 악재가 겹치며 집행부 책임론이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제도 개편이 코 앞에 닥쳤음에도 의협이 큰 움직임을 보이지 않자 의료계 내부에선 '협회가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지난달 28일 대한내과의사회 이정용 회장은 검체 검사 위수탁 제도와 관련해 "의협이 아무런 대책이 없다"고 공개적으로 저격했다.
이에 집행부를 대신할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자는 목소리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의협 대의원회 주신구 대의원은 13일 비대위 구성을 위한 임총 소집안 동의 요건이 충족돼 이날 오후 임총 개최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만약 비대위가 구성될 경우, 주요한 의료계 현안 대응 권한이 비대위로 이전되면서 김택우 집행부는 사실상 '레임덕'에 빠질 위험이 다분하다.
주신구 대의원은 "(비대위 구성에 있어) 대의원들의 폭발적 반응이 있다"고 전했다.
반면 의협 집행부는 '범의료계대책특별위원회(범대위)'를 선제적으로 구성하며 이 같은 내부 잡음을 잠재우겠다는 전략을 들고 나왔다.
의협은 오는 25일 전국의사대표자대회를 열고 '의협 국민건강보호 범대위' 출범을 공식 결의할 예정이다.
범대위 출범 명분은 성분명처방과 검체검사 위수탁제도 개악이 국민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한다는 차원에서 신속한 핀셋 대응을 위함이지만, 속내는 조금 다르다.
그동안 의협 집행부들은 회장 리더십 논란, 혹은 집행부 책임론이 부상할 때마다 범대위를 꾸려 재차 내부 결속을 다져왔다.
앞선 이필수 전 회장 당시 의대정원 확대 등 대응에 있어 집행부가 강경한 저지 대책을 내놓지 못한다는 이유로 두 차례나 비대위 설치 요구가 있었다. 이때 이필수 전 회장은 집행부 산하 범대위를 출범시켜 새로운 비대위 출범 명분을 제거하고 회무 주도권을 지켰다.
다만 이번엔 비대위 설치 여부와 별개로, 최근 지속적으로 의협 집행부에 대한 날선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는 점은 김택우 회장의 장기적인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한 시도의사회 관계자는 "김택우 회장은 의정갈등 해결 과정에서부터 최근까지 대응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예민한 시기인 만큼 조용히 회무를 진행하는 것은 이해한다. 그렇다면 결과로 승부를 봐야 하는데 최근 과도한 의료계 악법들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신구 대의원은 "대의원회와 집행부의 화합과 단결된 모습을 회원들에게 보여주기 위해서라도 임총과 대표자대회를 동시에 열었으면 한다"며 "그 자리에서 대의원회 임총 결과를 보고 비대위가 결성이 되면 대표자 회의를 연이어 개최해 투쟁의지를 보여주고, 임총에서 집행부의 그간 회무에 대한 해명과 투쟁의지를 들어보고 집행부를 더 믿어도 되겠다고 대의원들이 판단하면 비대위를 부결하고 대표자 회의로 연결되면서 범대위를 승인해주면 된다"고 전했다.
의협 김성근 대변인은 "25일 대표자대회에서 범대위 출범을 의결할 예정"이라면서도 비대위 구성을 위한 임총 개최와 관련해선 "대의원회 결의 사안에 집행부가 입장을 낼 이유는 없다. 다만 현안들이 밀려오고 있고 이를 잘 대처하자는 마음은 모두 같을 것"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