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보건의료 R&D 투자 문제 해결?..美NIH·日AMED 통합 컨트롤타워에서 배우자"
STEPI 이명화 단장 '통합적 접근' 제언..고대 김병수 교수 가장 큰 규제로 '예타' 꼽아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보건의료 연구개발(R&D)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제대로된 거버넌스 부재로 인해 기관 간 협력이 어렵고 질적으로도 저하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전문인력 양성과 기관 육성, 연구비 지원, 품질관리를 추진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미국의 21세기 치료법(21st Cures Act)을 벤치마킹해 R&D와 규제, 인력, 보험제도를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을 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이명화 국가연구개발분석단장·고려대 의과대학 혈액종양내과 김병수 교수 등은 14일 글로벌 보건의료 R&D 지원체계 현황과 이슈 국회토론회에서 이 같은 추진방향을 제언했다. 고대의대 김병수 교수는 "보건의료 R&D의 질적 영향력(상위 10% 인용 논문 지율·영향력 비율 등)을 보면, 하버드대학 1곳보다 우리나라 전체 의학분야가 더 낮은 수준이며, 논문 저자 수와 역량도 더 떨어졌다"면서 "이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