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테카바이오, AI 신약 버추얼스크리닝 서비스 'LM-VS' 글로벌 런칭
신테카바이오가 14일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신약 언어모델 기반 버추얼스크리닝 서비스 'LM-VS(Language Model Virtual Screening)'를 공식 런칭했다고 밝혔다. 1월 국내에서 베타버전으로 선보인 후, 한층 업그레이드된 기능을 반영했다. 전통적으로 CADD(Computer-Aided Drug Design)는 3차원 타깃 구조의 포켓에 화합물을 도킹하는 방식으로 발전해 왔으나, 최근 AI 기반의 De Novo 디자인, Gen-AI 방식, CNN 방식 등의 새로운 접근법이 등장했다. 하지만 De Novo 디자인과 Gen-AI 방식은 합성 및 구매가 어려우며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CNN 기반 AI 모델은 화합물 라이브러리의 크기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한계를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테카바이오는 AI 신약 플랫폼과 구글 역색인(Inverted Index) 기술을 결합해, 최대 100억 개의 화합물을 신속하게 검색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구 2025.03.14
로슈, 비만 파이프라인 확장 나섰다…카못 인수 이어 질랜드파마와 53억달러 규모 계약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로슈(Roche)가 아밀린 유사체 계열 비만 치료제를 확보하기 위해 최대 53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해당 후보물질의 단일요법은 물론 카못 테라퓨틱스(Carmot Therapeutics)를 인수하며 추가한 GLP-1 및 GIP 수용체 이중 작용제와의 병용요법을 모색할 계획이다. 로슈는 덴마크 질랜드파마(Zealand Pharma)와 페트렐린타이드(petrelintide)에 대한 독점 협력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두 회사는 페트렐린타이드의 단독요법 및 CT-388와의 고정 용량 복합제를 공동 개발하고 상용화하기 위해 협력한다. 계약 조건에 따라 로슈는 질랜드에 계약 체결 시점에 14억 달러, 협력 관계 체결 후 2년 동안 2억5000만 달러 등 선급금으로 16억5000만 달러를 지불한다. 또한 3상 임상시험이 시작됐을 때 개발 마일스톤 12억 달러와 판매 기반 마일스톤 24억 달러를 포함해 질랜드에 지급할 금액은 총 2025.03.14
사노피 듀피젠트, 만성폐쇄성폐질환 적응증 확대 승인
사노피 한국법인이 듀피젠트(Dupixent, 성분명 두필루맙)가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표준 흡입 요법으로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혈중 호산구 수가 증가된 성인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의 추가 유지 치료 요법으로 적응증 확대 승인을 받았다고 14일 밝혔다. COPD는 호흡곤란과 피로, 급성악화 등으로 환자들은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하며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그러나 기존 흡입제 기반의 3제 병합요법을 사용하더라도 환자의 약 50%는 여전히 중증 악화를 겪고 있어 미충족 수요가 있었다. 듀피젠트는 COPD에서 최초이자 유일하게 승인된 표적 생물의약품으로 기존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COPD 환자들에 새로운 임상적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적응증 확대의 기반이 된 BOREAS 및 NOTUS 3상 임상연구에 따르면, 듀피젠트 투여 52주차에 중등도~중증 연간 악화율은 각각 0.78, 0.86으로 위약군 1.1, 1.3 대비 30%, 34% 낮아 1차 유효성 평가변수를 충 2025.03.14
차세대 전이성 대장암 치료제 프루자클라 국내 허가
한국다케다제약이 전이성 대장암 치료제 ‘프루자클라(성분명 프루퀸티닙)’가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품목 허가 승인을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프루자클라의 효능·효과는 이전에 플루오로피리미딘, 옥살리플라틴, 이리노테칸을 기본으로 하는 항암화학요법과 항 VEGF 치료제 또는 항 EGFR 치료제(RAS 정상형의 경우)로 치료받은 적이 있고,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 및/또는 레고라페닙으로 치료시 질환이 진행됐거나 내약성이 없는 전이성 결장직장암 성인 환자의 치료다. 이번 허가를 통해 그간 후기 항암 단계에서 제한적 치료옵션으로 인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했던 전이성 대장암 환자들에게 전체 생존기간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프루자클라는 혈관내피성장인자(VEGF)-1,2,3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해 암세포의 혈관과 림프관 신생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소분자 VEGFR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TKI)다. VEGFR-1,2,3 외의 불필요한 타깃을 표적 하지 2025.03.13
한국오가논-한국약학대학생연합, 헬시 에이징 협력 및 보건의료 미래인재 양성 위해 MOU
한국오가논이 12일 한국약학대학생연합(KNAPS)과 초저출생·초고령화 시대의 인구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헬시 에이징(Healthy Aging)’ 및 생애주기별 건강 증진 활동을 공동으로 진행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헬시 에이징은 전 생애주기에 걸쳐 건강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개념으로, 고령화 사회에서 신체적 건강을 적극적으로 관리해 보다 활력 있는 삶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업무협약은 이러한 헬시 에이징을 실현하는 동시에 보건의료 및 제약산업의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헬시 에이징과 생애주기별 건강한 삶을 지원하고 사회·경제적 참여를 촉진하는 캠페인 등 공동 사업 기획 및 운영 ▲사회적 인식 확산과 개선을 위한 다양한 홍보 방안 마련 ▲보건의료 및 제약산업 발전을 위한 미래 인재 양성을 목표로 직무 개발과 역량 강화 기회 확대 등을 협력할 계획이다. 한국오가논 김소은 대표는 "이번 한국 2025.03.13
BD코리아, 'BD Horizon NEXT Tour 유세포 분석 심포지엄' 성료
BD코리아(Becton, Dickinson and Company, 벡톤디킨슨코리아)가 'BD Horizon NEXT Tour 유세포 분석 심포지엄'을 10~11일 서울과 대전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유세포 분석 기술 (FACS,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을 활용하는 연구원, 과학자, 면역학 교수,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등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에서 121명, 대전에서 102명 등 총 223명이 참여했다. BD Horizon NEXT Tour 유세포 분석 심포지엄은 연구자들이 복잡한 생물학적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최신 기술과 연구 방법론을 익힐 수 있도록 마련된 글로벌 교육 프로그램이다. 이번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형광 특성(fluorochrome property)이 세포 분석용 패널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첨단 다중 매개변수 분광 세포 분석법(high-parameter spect 2025.03.13
아델,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 JLABS 프로그램 최종 선정
아델이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Johnson & Johnson Innovation)의 JLABS 프로그램에 최종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JLABS는 유망 벤처 기업들에게 해외 투자 유치 및 글로벌 상업화 등을 지원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및 의료기기 기업 인큐베이터 플랫폼이다. 아델은 JLABS 샌디에이고에 버츄얼 컴퍼니(Virtual Company) 자격으로 참여하며, 이에 따라 물리적 위치에 관계없이 JLABS의 리소스와 혜택을 이용할 수 있다. 아델 윤승용 대표는 "JLABS 선정은 당사의 기술력이 글로벌 사업화에 충분히 매력적이라는 것을 J&J와 같은 글로벌 제약기업으로부터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JLABS의 지원을 통해 아델의 혁신적인 기술이 글로벌 투자 유치 및 파트너십으로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델은 알츠하이머 등 치매 치료제를 개발하는 벤처 기업이다. 리드 파이프라인 ADEL-Y01은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포함한 타우 병증의 핵심 병리 인자 2025.03.13
멥스젠, 전임상 및 임상용 나노입자 제조 시스템 '나노칼리버 GMP' 출시
멥스젠이 전임상 및 임상용 나노입자 생산 자동화 장비 ‘나노칼리버 GMP(NanoCalibur GMP)’를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나노칼리버는 치료 물질을 효과적으로 나노입자(NP)에 봉입하고, 이를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자사의 독자적인 미세유체 특허 기술을 적용한 나노입자 생산 자동화 시스템이다. 고객의 니즈에 최적화된 미세유체 합성칩들을 통해 mRNA와 ASO 등의 치료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지질나노입자(LNP)에 봉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분자 및 고분자 치료 물질도 고분자 지질나노입자(LPNP)에 봉입해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나노칼리버 GMP는 2024년 11월 출시 후 학교 및 병원 연구소 등에 납품 중인 연구용 벤치탑 장비 ‘나노칼리버 랩(NanoCalibur Lab)’에 이어 선보이는 제품으로 통합된 생산 공정을 제공해, 전임상 동물실험부터 임상시험까지 전 과정을 지원한다. 나노칼리버에는 기존 주사기 형태의 단순 기계적 장비와 2025.03.13
만성 수면 부족 상태 한국인, 계절별 수면 특징과 상태 달라…맞춤형 수면 습관 개선 필요
슬립테크 기업 에이슬립이 국내 수면 실태를 담은 '2025 대한민국 수면 리포트'를 13일 발간했다. 이번 리포트는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1년간 에이슬립의 인공지능(AI) 수면 측정 기술로 수집된 24만6934명의 방대한 수면 데이터(누적 298만8519일, 1607만8711시간)를 토대로 작성됐다. 에이슬립은 매년 3월 둘째 주 금요일인 '세계 수면의 날(World Sleep Day)'을 맞아, 대한민국의 수면 패턴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해 수면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표로 이번 리포트를 발표했다. 한국인 평균 수면 5시간 59분…만성 수면 부족 심각 리포트에 따르면 한국인의 평균 수면 시간은 하루 5시간 59분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한수면학회 권장 수면시간(7~9시간)에 비해 1시간 이상 부족한 수준이다. 하루 평균 약 7시간을 침대에 머물지만 정작 6시간도 채 자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수면효율(누워있는 시간 대비 잠들어 있는 비율) 역시 평 2025.03.13
한국 노보 노디스크, 도시 단위의 만성질환 관리 생태계 발전 위한 양해각서 체결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이 12일 서울 시청에서 서울시,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 대한당뇨병학회, 대한비만학회, 주한덴마크대사관과 함께 도시 지역 사회의 건강 형평성 제고를 목표로 하는 글로벌 파트너십 프로젝트인 '도시 건강 개선 프로젝트(Cities for Better Health)'의 국내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는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의 캐스퍼 로세유 포울센 (Kasper Roseeuw Poulsen) 대표와 서울시 김태희 시민건강국장, 대한당뇨병학회 차봉수 이사장(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대한비만학회 김민선 이사장(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필립 알렉산더 할크비스트 (Philip Alexander Hallqvist) 주한덴마크대사관 공관 차석(부대사)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서울 시민의 건강 형평성 수준을 개선하고 서울시 만성질환 관리 생태계의 발전을 위한 공동 프로그램의 추진을 목표로 한다. 협약의 모든 당사자는 2025.03.13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