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오가논 프로페시아, 남성형 탈모 환자 지원 앱 세계 최초 한국 출시
한국오가논이 남성형 탈모 치료제 프로페시아 처방 환자들을 위한 남성형 탈모 환자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국내 최초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이 앱은 프로페시아 처방 환자들이 병원 밖에서도 프로페시아® 복약 관리 및 탈모 치료과정을 기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환자 스스로 자신의 모발 사진을 촬영해 기록함으로써 모발성장 과정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는 탈모 치료 지원 프로그램과 모발 사진 촬영 및 약 복용을 위한 알림 기능 설정, 프로페시아 복용 및 탈모 질환 관련 정보성 컨텐츠를 제공한다. 특히 모발성장 과정 그래프에서는 사용자 가이드라인에 따라 환자 본인의 두피 사진을 찍으면 월 별로 두피 부위별(윗면, 정면, 우측면, 좌측면)로 나타나는 모발 성장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본인의 모발 이미지를 바탕으로 부위별 모발 성장 수치가 분석되며, 분석한 수치는 그래프로 자동 변환되어 모발 성장 과정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앱은 병원과 약국에서 제공되는 보안 설정된 QR 코드를 통해 2023.11.06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바이오 유럽 2023' 참가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가 8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바이오 유럽(BIO-EUROPE) 2023’에 참가한다고 6일 밝혔다. 바이오 유럽은 유럽 최대 규모의 바이오 파트너링 행사로, 전 세계 제약 바이오 및 바이오테크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최신 바이오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비즈니스의 기회를 모색하는 자리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이번 전시에서 암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atient-derived organoid, PDO) 뱅킹을 활용한 세계 유일의 AI 기반 신규 항암 타깃 발굴 플랫폼을 소개하고 사업화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가 보유한 PDO 뱅크는 글로벌 수준의 높은 임상 재현도를 보일 뿐 아니라, 차세대염기서열(NGS) 분석이 완료된 500여 종 이상의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특히 최근 세계 최초 PDO 데이터로부터 혁신(First-in-class) 병용 타깃을 발굴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을 자체 개발하기도 했다. 그래디언트 바이 2023.11.06
류마티스 환자, 전문의에게 조기에 연결 방안 필요
대한류마티스학회가 지난 2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류마티스관절염 현황 및 치료 질관리, 동반질환 관리를 발표했다. 류마티스관절염은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발병 2년 이내에 관절조직이 비가역적으로 파괴되는 질환이다. 관절염 외에도 전신의 다양한 기관을 침범해 만성 염증을 일으키며 공막염, 간질성폐질환, 피부 혈관염, 류마티스 결절 등이 드물지 않게 발생하는 질환이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는 일반 인구에 비해 심혈관계 질환이나 골다공증 등 동반 합병 질환의 위험이 높은 것도 주목해야 한다. 류마티스관절염을 진단하기 위해 류마티스인자나 항CCP항체와 같은 혈액 검사나 단순영상촬영(예, 손과 발)과 초음파 검사 등의 영상검사를 활용할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임상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의 병력 청취와 신체 검진이며, 이와 같은 전문가의 경험은 감별진단 외에도 항류마티스 약물의 선택과 안전성 평가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류마티스관절염의 치료는 낮은 질병 2023.11.04
KRPIA, 식약처 세계 첫 WLA 등재에 제약업계 환영의 뜻 밝혀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가 3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세계보건기구 우수규제기관 목록(WHO Listed Authorities, WLA)에 등재된 것에 대해 제약업계의 환영의 뜻을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는 10월 26일 식약처를 세계 최초로 WLA에 등재했다. 등재된 기능은 의약품과 백신 분야의 약물감시, 제조·수입업허가, 규제실사, 시험·검사, 임상시험, 국가출하승인, 시판허가, 시장감시 등 총 8가지다. WLA는 UN 산하기관 의약품 조달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우수규제기관 목록인 SRA를 대체해, 세계보건기구가 각 의약품 규제기관의 규제시스템 및 업무 수행 능력을 기준으로 기관 목록을 선별한 신규 제도다. KRPIA는 "WLA가 안전하고 품질 높은 의료 제품의 접근 및 공급을 촉진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인 만큼, 이번 등재는 식약처의 우수성뿐 아니라 국내 의약품·백신 제조과정의 신뢰도를 인정받은 고무적 결과다"고 그 의의를 밝혔다. 또한 "세계보건기구에서 2023.11.03
한국MSD 15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박스뉴반스' 국내 허가
한국MSD가 15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박스뉴반스(Vaxneuvance)'가 최근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았다고 3일 밝혔다. 생후 6주 이상부터 만 17세까지의 영아, 어린이 및 청소년과 만 18세 이상의 성인 등 전 연령에서 사용할 수 잇다. 박스뉴반스는 국내에 13년 만에 허가된 폐렴구균 백신이다. 박스뉴반스는 기존 예방 백신의 13개 혈청형에 최근 전세계 주요 폐렴구균 질환을 유발하는 혈청형으로 지목되는 ‘22F’와 ‘33F’ 두 가지 혈청형을 추가해 예방 범위를 넓혔으며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 박스뉴반스는 ▲생후 6주 이상부터 만 17세까지의 영아, 어린이 및 청소년에서 폐렴구균 혈청형(1, 3, 4, 5, 6A, 6B,7F, 9V, 14, 18C, 19A, 19F, 22F, 23F 및 33F)으로 인하여 생기는 침습적 질환 및 폐렴의 예방 ▲생후 6주 이상부터 만 17세까지의 영아, 어린이 및 청소년에서 폐렴구균 혈청형(1, 3, 4, 5,6A, 6B, 7 2023.11.03
비욘드디엑스, 中센랑바이오와 암 신생항원에 대한 맞춤형 치료제 개발
비욘드디엑스(BeyondDx Inc.)가 3일 중국 센랑바이오(Herbei Senlang Biotechnology Co. Ltd.)와 환자 맞춤형 세포 치료제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환자마다 다른 다양한 암 환경에 적합한 맞춤형 치료 솔루션의 개발, 생산, 적용을 위한 양사의 전략적 협력 체계 구축에 기초한다. 센랑바이오의 맞춤형 세포치료제 개발 기술력과 중국 스좌장 과학특구에 있는 20여개 대형병원과 임상 협력 체계를 활용하고, 비욘드디엑스의 암 면역 환경에 반응하는 T 세포를 포집, 프로파일링하는 iDxGate IO 기술을 적용해 개별 환자 특성에 맞는 치료 시스템을 빠르게 구축, 적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저항성 암종에서의 신생항원(Neoantigen)의 발굴과 이에 대한 TCR 라이브러리 구축, 치료제 개발, 생산, 사업화까지 포함해 중장기적인 마일스톤을 공유하며 진행 예정이다. 비욘드디엑스는 올해 8월 설립된 액체 생검 기반 진단 회사다. 2023.11.03
아스트라제네카, 세포유전자 치료제 투자 강화…라이선스 계약 및 지분 투자에도 적극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올해 세포 유전자 치료제에 대한 투자를 계속 확대하며 이 분야에서의 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후보물질의 독점권을 확보하는 한편 지분 투자도 적극 나섰다. 아스트라제네카는 미충족 수요가 높은 분야에서 차세대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프랑스 생명공학 기업인 셀렉티스(Cellectis)와 연구 협력 및 투자 계약을 1일(현지시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종양학과 면역학, 희귀질환을 포괄해 최대 25자 유전자 표적과 개발 중인 최대 10개 후보에 대한 독점권을 갖게 됐다. 계약 조건에 따라 아스트라제네카는 셀렉티스에 현금 2500만 달러와 지분 투자 8000만 달러로 구성된 초기 지불금 총 1억500만 달러를 지급한다. 초기 지분 투자금 8000만 달러는 셀렉티스 지분의 약22%에 해당한다. 2024년 초 1억4000만 달러 추가 지분 투자를 통해 아스트라제네카는 셀렉티스 지분의 약 44%를 확보할 예정이다. 2023.11.03
박셀바이오, AASLD∙ACTO 등 국제학술대회에서 연구내용 발표
박셀바이오가 이달 열리는 국제학술대회 2곳에서 진행성 간암 면역세포 치료제의 2a상 임상과 B세포 성숙 항원 키메릭 수용체 치료제인BCMA CAR-MIL 연구내용을 발표한다고 2일 밝혔다. 먼저 6~8일 일본 후쿠오카에서 진행되는 제14회 아시아세포치료학회 국제학술대회(ACTO, Asian Cellular Therapy Organization)에서 BCMA CAR-MIL 연구내용을 발표한다. 이어 10~14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2023미국간학회 국제학술대회(AASLD,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iver diseases)에서는 진행성 간암치료제 임상2a상 연구내용을 발표한다. CAR-MIL은 골수에서 추출한 림프구인 골수침윤림프구(MIL, Marrow Infiltrating Lymphocytes)를 이용한 면역세포 치료제로 암세포 이중 나노 항원 인식 기술을 탑재했다. 그 결과 단일 항원 인식 기술이 적용된 기존 MIL 치료제보다 암세 2023.11.02
큐리옥스, 중국서 차세대 세포분석 자동화 솔루션 수주 계약 성사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가 Hunan Deshengyuan Biotechnology와 차세대 자동화 제품인 AUTO-CX1000 장비를 3년간 70대 이상 공급하는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계약에 따라 HT 제품, Buffer Exchanger를 포함하는 AUTO 장비를 첫 해에는 최소 10세트, 두 번째 해에는 최소 20세트, 그리고 마지막 세번째 해에는 최소 40세트를 제공한다. 수주 금액은 최소 700만 달러 수준이다. 향후, 큐리옥스는 중국 자회사에 AUTO-CX1000 장비에 필요한 HT2000 또는 차세대 HT2100 장비와 부품을 제공하고, 중국 본토에서 AUTO-CX1000 장비를 조립해 공급할 예정이다. Hunan Deshengyuan Biotechnology는 큐리옥스와 중국 임상 시장 독점 계약을 맺은 바이오 기기 판매 전문 회사로, 현재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에 AUTO-CX1000 제품의 허가 및 등록을 진행중이며 2024년 1분기내에 중국 2023.11.02
브릿지바이오, 국제 제약∙바이오 행사서 기업 소개 발표 및 글로벌 협력 모색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제10회 차이나 헬스케어 서밋(China Healthcare Summit)과 2023 바이오유럽(BIO Europe)에 연달아 참가해 회사의 경쟁력 높은 개발 파이프라인을 전세계에 알리며 글로벌 파트너링 모색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2일 밝혔다. 2~3일(현지시간)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차이나 헬스케어 서밋은 미국 제약·바이오 전문지 바이오센추리와 중국 생명과학 분야 비영리단체 베이헬릭스가 공동 주최하는 연례 제약·바이오 컨퍼런스다. 브릿지바이오는 기업 발표 세션에서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 및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암 질환 및 섬유화 질환 중심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직접 기업 소개 연자로 나선 브릿지바이오 이정규 대표이사는 회사의 핵심 임상 과제인 특발성 폐섬유증(IPF) 치료제로 개발 중인 오토택신 저해제 ‘BBT-877’과 비소세포폐암(NSCLC)을 타깃으로 한 4세대 EGFR 저해제 ‘BBT-207’의 개발 현황 및 향후 2023.11.02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