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BMS제약, 2023년 '서울-BMS 이노베이션 스퀘어 챌린지' 우승 기업 선정
한국BMS제약이 국내 스타트업 양성을 위해 서울특별시, 서울바이오허브와 함께 개최한 ‘서울-BMS 이노베이션 스퀘어 챌린지’(Seoul-BMS Innovation2 Challenge)에서 일리미스테라퓨틱스(Illimis Therapeutics)와 트리오어(Trioar Inc.)를 최종 우승 기업으로 선정, 서울바이오허브에서 시상식을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서울-BMS 이노베이션 스퀘어 챌린지는 6월 국내 바이오 및 디지털헬스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BMS가 글로벌 사업개발 차원에서 집중하고 있는 ▲종양질환 ▲혈액질환 ▲세포치료 ▲심혈관질환 ▲섬유화증 ▲면역질환 ▲신경의학 ▲디지털헬스 ▲중개의학 ▲연구조사기술 등 총 10개의 영역에서 모집을 시작했다. 이번 모집에는 총 49개의 기업이 지원했으며, 이 중 종양질환, 면역질환, 디지털헬스 분야의 프로젝트가 약 60%를 차지했다. 또한 전체 지원 건수는 전년 대비 26% 증가, 오픈이노베이션에 대한 국내 바이오제약 기업들의 높은 관심과 참 2023.11.23
엔자임헬스, '2023 한국PR대상' 공공·공익캠페인 부문 최우수상 수상
엔자임헬스가 22일 서울 세빛섬 플로팅 아일랜드에서 개최된 ‘2023 한국PR대상’에서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의 ‘2023 자살예방 캠페인’ 프로젝트로 공공/공익캠페인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23일 밝혔다. 올해로 31회를 맞이한 한국PR협회의 ‘한국PR대상’은 매년 우수PR활동 사례 및 우수 실무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국내 PR 산업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진 상 중 하나다. 엔자임헬스가 기획 및 운영한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의 ‘2023 자살예방 캠페인’은 우리가 충분히 지킬 수 있었던 13,352명(2021년 자살 사망자 수)의 생명을 지키지 못했다는 점에 집중해, 자살 예방에 대해 사회적 관심을 갖고 함께 행동할 것을 강조했다. 동시에 ‘13,352(2021년 국내 자살 사망자 수)+1393(자살예방 상담전화)=0’이라는 슬로건을 통해 자살 예방 상담전화 ‘1393’번을 널리 알리고자 했다. 이를 위해 자살예방 공익광고와 디지털 콘텐츠, 대중교통 및 야구장 옥외광고 등을 통해 ‘1 2023.11.23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연세의료원, 오가노이드 뱅킹 확장 위한 공동연구 계약 체결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가 연세의료원과 폐암, 췌장암, 난소암 인체유래 오가노이드(patient-derived organoid, PDO) 공배양 및 면역항암제 스크리닝 플랫폼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와 연세의료원은 유전자 변이 암조직과 정상조직으로부터 오가노이드 공배양 시스템을 수립하고, 환자별 유전자 특성과 치료 이력 등이 구분된 PDO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데이터베이스를 강화할 예정이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2019년 폐암 오가노이드 플랫폼 개발을 위해 종양내과 조병철 교수팀과 공동 연구를 진행했고, 이번 후속 계약을 통해 간담췌외과 강창무 교수팀, 산부인과 남은지 교수팀과 함께 췌장암, 난소암 분야 등으로 전문영역을 넓히게 된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이진근 대표는 "자사는 연세의료원 등 국내외 주요 기관들과 협력해 세계 최대 규모의 PDO 뱅킹을 수립하고, 이를 활용한 AI 기반 2023.11.22
美FDA, 통계적 유의성 달성한 만성기침약에 임상적 유의성 의문 제기한 까닭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MSD가 개발한 만성 기침약 게파픽산트(gefapixant)이 미국에서 허가를 받기 어렵게 됐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게파픽산트가 기침 빈도를 약간 감소시켰으며, 그 효과가 임상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불확실성이 있다고 봤고, 자문위원회 역시 압도적인 표결로 여기에 동의했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FDA 폐-알레르기 약물 자문위원회(PADAC)가 최근 12대 1로 MSD가 제공한 근거가 난치성 또는 원인 불명의 만성 기침이 있는 성인 환자에게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이점을 보여주지 못한다고 투표했다. 환자단체 대표만 유일하게 승인에 찬성표를 던졌다. 만성 기침은 8주 이상 지속되는 기침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병률은 전 세계 성인의 약 5~10%로 추정된다. 현재 FDA가 승인한 만성 기침약은 없다. 일부 약물이 오프라벨로 사용되고 있으나 근거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미충족 수요가 높다. 2023.11.22
인게니움 테라퓨틱스, 53억원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누적투자액 140억원
인게니움 테라퓨틱스가 최근 53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해 4월 60억원 규모의 프리시리즈 A 투자 유치를 받은 이후 약 1년 만이다. 누적 투자 유치액은 140억원이 됐다. 이번 투자에는 캡스톤 파트너스, 케이그라운드벤처스, 라플라스 파트너스 등이 후속 투자했고, 대우당헬스케어가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이번 투자 유치로 연구개발비 등 운영자금을 확보한 인게니움은 승인받은 2상 임상시험과 해외진출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2020년 11월 설립된 인게니움는 메모리 NK 핵심 기술 및 임상데이터를 보유한 신약개발 회사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 받고 임상 개발 및 신규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인게니움의 파이프라인으로는 메모리 NK 인 젠글루셀(Gengleucel)과 규격품(Off-the-shelf) 메모리 NK인 IGNK002 등이 있다. 지난 17년간 진행된 1, 2상 임상시험에서 급성골수성백혈병 2023.11.21
베이진코리아 테빔브라, 진행성 또는 전이성 식도암 적응증 식약처 허가
베이진코리아가 테빔브라주 100밀리그램(성분명 티슬렐리주맙)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이전 백금 기반 화학요법 치료를 지속할 수 없거나 투여 이후에 재발 또는 진행된 절제 불가능, 재발성,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식도편평세포암(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성인 환자에서의 단독요법으로 20일 허가 승인됐다고 21일 밝혔다. 테빔브라는 베이진의 첫번째 면역항암제로, 대식세포의 Fc-감마 수용체(FcγR)로의 결합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인간화 IgG4 단클론항체로써 인체의 면역세포가 암 세포를 보다 잘 인식하고 항종양 반응을 유지해 효과적으로 싸울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PD-1에 대한 티슬렐리주맙의 결합 표면이 PD-L1의 결합 표면과 크게 겹쳐 다른 동일 계열 면역항암제제제에 비해 PD-1/PD-L1 상호작용을 완전히 차단(>99%)하며, 전임상 모델에서 높은 표적 친화성과 PD-1으로부터의 느린 해리 속도를 보여줘 역시 동일 계열 2023.11.21
와이바이오로직스, 공모가 9000원 확정…내달 5일 코스닥 상장
와이바이오로직스가 최종 공모가를 9000원으로 확정했다고 21일 밝혔다. 공모금액은 135억원, 상장 후 시가총액은 보통주 기준 1248억원으로 추정된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10일부터 16일까지 총 공모주식수 150만 주의 70.3%인 105만5000주에 대해 국내외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했다. 총 911개 기관이 참여해 총 2억3937만3000주를 신청했으며, 226.8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기관 의무보유 확약 비중은14.5%로 확인됐으며, 이 중 3개월 확약이 91.5%에 달했다. 상장 주관사인 유안타증권은 자발적으로 6개월간의 환매청구권(풋백옵션)을 부여했다. 환매청구권은 일반 투자자가 청약으로 배정받은 공모주식을 일정기간 동안 공모가의 90%의 가격으로 주관사에 되팔 수 있는 권리다. 유안타증권 관계자는 “최근 바이오 기업의 수요예측 결과가 다소 부진했던 것과 비교해 기관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한 상황이다”며 “수요예측 결과가 성공적이라고 평가하고 2023.11.21
15가 폐렴구균 백신 국내 도입…"주요 혈청형 변화·항생제 내성 증가로 선제적 예방 중요성↑"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13년만에 국내 허가된 15가 폐렴구균 백신 박스뉴반스가 연내 국내 공급돼 성인과 소아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주요 혈청형 변화와 더불어 코로나 이후 증가한 항생제 내성에 따라 새로운 백신이 국내에 빠르게 도입돼 의료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과 정책적인 협력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MSD가 20일 15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박스뉴반스(Vaxneuvance)'의 국내 허가를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백신의 임상적 가치와 의의를 공유했다. 박스뉴반스는 10월 3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았으며, ▲전 연령에서 폐렴구균 혈청형(1, 3, 4, 5, 6A, 6B,7F, 9V, 14, 18C, 19A, 19F, 22F, 23F 및 33F)으로 인하여 생기는 침습적 질환 및 폐렴 예방에 접종이 가능하고, ▲생후 6주 이상부터 만 17세까지의 영아·어린이 및 청소년에서는 급성 중이염 예방에 사용할 수 있다. 기존에 사용되 2023.11.20
마크로젠,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발굴 유해 및 유가족 유전자 검사 사업 착수
마크로젠이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주관하는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발굴 유해 및 유가족 유전자 검사' 용역 사업에 착수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사업은 내년 2월까지 진화위에서 발굴한 유해들 중 약 500여구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마크로젠은 2016년부터 8년간 쌓아온 쌓아온 ‘human ID(휴먼아이디)’ 개인 유전자 감식 기술 노하우를 기반으로 희생자 유해 및 유가족 시료로부터 DNA를 추출하고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희생자 유해의 신원을 확인하고 유가족 DNA와 비교해 가족관계를 추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마크로젠은 진화위와 9월 계약 체결을 완료했으며, 현재 안치 중인 유해 중 약 500여구를 대상으로 유가족들의 유전자 검사 결과와 비교 분석할 예정이다. 전달 받은 유해는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들이다. 약 70여년 이상 땅 속에 묻혀있던 유해로 오염이 심하고 잘 부서져 유전자를 분석하는 데 전문 기술과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마크로젠은 노후화 2023.11.20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의 골절 위험 빠르게 낮추는 강력한 약물치료 전략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골다공증 골절은 골밀도가 낮아 기침을 하거나 양치질 도중 아무 이유 없이도 발생할 수 있는, 뼈가 매우 취약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골절이다. 골밀도가 매우 낮으면 언제든 골다공증 골절이 발생할 위험이 높으며, 골다공증 골절을 경험한 뒤 골다공증 치료 없이 방치하면 골절이 계속되고, 이로 인한 여러 동반질환과 합병증으로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이에 국내외 골다공증 전문가들은 골절이 매우 임박한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Very-High-Risk Group)’에게 보다 강력한 약물 치료를 통해 골절 위험을 빠르게 낮추는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고 권고한다. 이베니티(성분명 로모소주맙)는 골형성 억제 단백질인 스클레로스틴(Sclerostin)을 표적하는 인간화 단클론항체다. 최초이자 유일하게 '골형성 촉진'과 '골흡수 억제' 이중 효과를 가지고 있어, 다른 약제보다 골다공증 자체를 빠르게 개선시켜줄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가이드라인에서 골다공증 초고위 2023.11.2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