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텍스, 면역치료제 개발사 알파인 49억달러에 인수…올해 최대 규모 M&A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미국 버텍스 파마슈티컬스(Vertex Pharmaceuticals)가 단백질 기반 면역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임상 단계 바이오텍을 49억 달러에 인수해 화제를 모은다.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올해 최대 규모 인수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버텍스는 나스닥 상장사인 알파인 이뮨 테라퓨틱스(Alpine Immune Sciences)를 주당 65달러, 현금 약 49억 달러에 인수하는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알파인의 종가에 약 67% 프리미엄이 붙은 금액이다. 버텍스는 낭포성 섬유증, 겸상 적혈구 질환, 수혈 의존성 베타 지중해 빈혈 등 생명을 단축시키는 만성 유전 질환 치료제를 가지고 있는 기업이다. 알파인이 개발 중인 리드 물질은 BAFF(B세포 활성화 인자)와 APRIL(증식 유도 리간드) 이중 길항제인 포베타시셉트(povetacicept, 개발명 ALPN-303)다. 포베타시셉트는 말기 신장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진행성 자가면역질환인 IgA 신증 2024.04.13
노바티스, 2세대 프로탁 단백질 분해제 개발 위해 11억6000만달러 계약 체결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노바티스(Novartis)가 경구용 단백질 분해제 개발을 위해 11억60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노바티스는 표적 단백질 분해를 기반으로 새로운 종류의 약물을 개발하는 임상 단계 생명공학 기업 아르비나스(Arvinas)와 2세대 프로탁(PROTAC) 안드로겐 수용체(AR) 분해제 ARV-766의 전세계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해 독점 전략적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 거래에는 전임상 AR-V7 프로그램에 대한 자산 구매 계약도 포함됐다. 계약 조건에 따라 노바티스는 ARV-766의 전 세계 임상 개발 및 상용화를 책임지고 AR-V7 프로그램과 관련한 모든 연구, 개발, 제조 및 상용화 권리를 갖는다. 아르비나스에 선급금 1억5000만 달러와 함께 추가 개발, 규제, 상업적 마일스톤으로 최대 10억1000만 달러, 단계별 로열티를 지급한다. 최근 다국적 제약사들은 세포 내 단백질 분해 메커니즘을 활용해 질병을 유발하 2024.04.13
테라펙스, 美 AACR서 ‘TRX-211-399’ 베스트인클래스 가능성 제시
테라펙스가 5~10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4)에서 EGFR 엑손20삽입변이 비소세포폐암 표적항암제 예비 후보물질인 TRX-211-399에 대한 전임상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TRX-211-399는 테라펙스의 대표 파이프라인인 TRX-221에 이어 자체 역량으로 발굴한 저분자 화합물로, 비소세포폐암 영역 중에서도 EGFR 엑손20삽입변이를 표한다. 테라펙스는 효능과 선택성이 개선된 TRX-211-399가 베스트인클래스(Best-in-Class)에 오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테라펙스는 이번 AACR에서 포스터 발표를 통해 선행 경쟁물질 대비 개선된 TRX-211-399의 선택성과 뇌혈관장벽 투과능을 증명했다. Ba/F3 세포 생장 저해 실험에서 EGFR 엑손20삽입 변이뿐 아니라 EGFR 희귀 돌연변이를 강력하게 저해하는 반면, 야생형 EGFR를 발현하는 피부암세포주(A431)의 생장은 상대적으로 덜 저해함으로써 T 2024.04.12
삼성바이오에피스,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에피즈텍' 국내 품목 허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Stelara) 바이오시밀러 '에피즈텍(EPYZTEK, 프로젝트명 SB17, 성분명 우스테키누맙)'의 품목허가를 국내 최초로 획득했다고 12일 밝혔다. 스텔라라는 얀센(Janssen)이 개발한 판상 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의 치료제다. 자가면역 관련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한 종류인 인터루킨(IL)-12/23 활성을 억제하는 의약품이며 연간 글로벌 매출 규모는 약 14조원(108억5800만달러)에 달한다. 에피즈텍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에톨로체(엔브렐 바이오시밀러, 성분명 에타너셉트), 레마로체(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성분명 인플릭시맵), 아달로체(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성분명 아달리무맙)에 이어 네 번째로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다. 에피즈텍 품목 허가를 통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기존 종양괴사인자 알파(TNF-α) 억제제 3종(에톨로체,레마로체,아달로체)에 이어 인터루킨 억제제(에피즈텍)까지 보 2024.04.12
지노바이오, GenoCTC 활용한 표적항암제 및 항체치료제 개발 연구 'AACR 2024'서 발표
지노바이오가 표적항암제와 항체치료제의 개발에서 순환암세포(CTCs)를 통한 생체표지자 검사의 중요성이 부각된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미국암연구협회(AACR)에서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노바이오는 젠큐릭스 자회사로 액체생검 기반 분리/분석 플랫폼 개발 전문기업이다. 이번 연구에서 액체생검 분리용 정밀의료기기 'GenoCTC'를 소개하고, 표적항암제와 항체약물접합체(ADC)와 같은 치료제의 반응 예측에 필수적인 생체표지자를 병행 개발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고 했다. 이를 통해 약물 개발의 속도와 성공률을 높일 수 있고 최종적으로 동반진단(CDx) 검사를 개발하는데 활용가능한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GenoCTC 플랫폼을 이용해 cMET, 메조티린(MSLN), 클라우딘3(CLND3) 등과 같은 주요 암 생체표지자를 포함하는 CTCs를 효율적으로 분리했다. 특히 cMET은 비소세포폐암 연구에서 주목받는 표지자다. MSLN과 CLDN3은 다양한 암 유형에서 과발현되는 2024.04.11
큐리언트, Q901 전사조절 항암기전 규명 통한 TOP1i-ADC 시너지 발표
큐리언트가 포스텍 연구팀과의 공동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9일(현지시간)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신규 항암제 Q901을 통해 CDK7 저해에 의한 발암 유전자 전사 조절 기전을 처음으로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그 동안 CDK7 저해가 암세포의 DNA 손상복구 기전을 억제하면서, 암세포의 사멸이나 면역체계의 항 종양효과를 유도하는 것은 밝혀 왔지만, CDK7 저해가 어떤 과정을 통해 DNA 손상 복구 기전을 억제하는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의 기전적 핵심은 Q901이 유전 정보의 출력을 담당하는 RNA 중합효소의 전사 개시를 억제하며 그 효과가 DNA 손상 복구 유전자를 포함한 특정 발암 유전자군에 한정된다는 것이다. 약리학적 핵심은 이러한 기전이 Q901 단독 처리에서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현재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다양한 ADC와도 강한 시너지 효과를 보일 수 있음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큐리언트 관계자는 "Q901을 통한 지속적 연구를 통해 신규 기전을 2024.04.11
애브비 스카이리치, 손발바닥 농포증 치료제로 국내 허가
한국애브비는 건선성 질환 치료제 스카이리치(Skyrizi, 성분명 리산키주맙)가 보편적인 치료에 반응이 불충분하거나 또는 내약성이 없는 중등도~중증 성인 손발바닥 농포증 치료제로 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허가로 스카이리치는 광선요법 또는 전신치료요법(생물학적 요법 포함)을 필요로 하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성인 판상 건선, 성인의 활동성 건선성 관절염뿐 아니라 손발바닥 농포증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대한건선학회장 건국대병원 피부과 최용범 교수는 "손발바닥 농포증은 자주 사용하는 손이나 발에 무균성 농포가 나타나며 가려움과 통증을 동반해 환자들의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피부 면역 질환으로 재발이 잦아 올바른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로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중증도-중증 판상 건선 및 건선성 관절염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입증한 스카이리치가 손발바닥 농포증 환자들에게도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승 2024.04.11
티움바이오, 경구용 면역항암제 TU2218의 병용투약 유용성 결과 AACR학회 발표
티움바이오가 면역항암제 TU2218의 전임상 동물실험 연구포스터를 미국암학회 AACR 2024에서 공개했다고 11일 밝혔다. TU2218은 면역항암제 활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형질전환성장인자(TGF-ß)'와 '혈관내피생성인자(VEGF)'의 경로를 동시에 차단해 키트루다와 같은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이중 저해제다. 9일(현지시간) 티움바이오는 유방암 모델(4T1 세포주) 및 대장암 모델(MC38 및 CT26 세포주) 대상으로 기존 허가된 치료방법을 대조군으로 TU2218를 병용 투약 시 치료 결과 및 안전성에 대해 AACR 학회 현장에서 포스터로 발표했다. AACR에서 발표된 세 가지 동물실험 중 유방암 마우스 모델(4T1)에서 TU2218과 항PD-1을 병용투여는 허가된 치료법(화학요법과 항PD-1 병용) 대비 종양성장억제율(TG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나타냈다. 대장암 모델(MC38) 세포주 대상으로 수행된 삼제 병용요법(TU2218, 항PD-1, 항CT 2024.04.11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상피성 난소암에서 BBT-877 병용 치료 가능성 확인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상피성 난소암에서 오토택신 저해제 BBT-877의 병용 치료 가능성을 확인한 비임상 연구 결과가 종양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 ‘항암 연구(Anticancer Research)’에 게재됐다고 11일 밝혔다. 전체 난소암의 약 90%를 차지하는 상피성 난소암은 대개 조기 발견이 어려우며, 말기 환자의 약 70% 이상이 약물에 대한 내성 등으로 인한 질환 재발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난소암 환자의 혈액에서 리소포스파티드산(LPA)이 증가돼 있다는 최근 보고와 더불어 난소암의 내성 기전에 종양줄기세포(cancer stem cells)가 깊게 연관돼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회사는 체내 리소포스파티드산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의 오토택신 저해제 BBT-877을 활용한 상피성 난소암 치료 연구에 착수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난소암 종양줄기세포를 주사해 질환을 유발한 동물(쥐) 모델에서 3일 간격으로 총 4회간 약물뒤 복강 내 종양 결절 수와 그 크기를 비교했 2024.04.11
에이비엘바이오, 신규 이중항체 파이프라인 및 ABL105 포스터 발표 AACR 성황리 종료
에이비엘바이오가 5~10일(현지시간)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연례학술대회에서 신규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ABL112 및 ABL407의 포스터 발표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11일 밝혔다. 파트너사 유한양행이 발표한 HER2 표적 이중항체 ABL105(YH32367) 포스터 역시 다수의 참가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번에 발표된 이중항체 3종은 모두 ‘그랩바디-T(Grabody-T)’ 플랫폼이 적용된 면역항암 파이프라인이다. 그랩바디-T는 에이비엘바이오가 개발한 4-1BB 기반 이중항체 플랫폼으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T 세포를 활성화해 4-1BB 단일항체 고유의 간 독성 부작용은 줄이고, 항암 효과는 높이도록 설계됐다. 그랩바디-T가 적용된 대표적인 파이프라인으로는 ABL503, ABL111, ABL105, ABL103 등이 있다. ABL112 및 ABL407은 기존 그랩바디-T 기반 이중항체들과 달리 종양 항원이 아닌 암 세포 주변에 밀집한 면역 세포 특이적 항원을 표적하고 2024.04.1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