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에스티, 1분기 매출 1690억원·영업익 70억원…ETC·해외사업 큰 폭 성장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동아에스티가 29일 별도기준 2025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0.7% 증가한 169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70억원으로 853.8% 증가했다. 동아에스티는 매출 증가 요인으로 ETC 부문, 해외사업 부문이 성장을 꼽았다. 전문의약품(ETC) 부문은 인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 기능성소화불량치료제 '모리티톤' 등 주요제품의 매출 성장과 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 '자큐보', 말초순환개선제 '티나민' 등 신규 품목 매출이 추가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5.4%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그로트로핀는 전년 동기 대비 23.5% 증가해 329억원, 모티리톤은 14.3% 증가한 97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 외에도 ▲위염치료제 스티렌은 4.2% 증가한 43억원 ▲요부척추관협착증치료제 오팔몬은 3.5% 증가한 63억원 ▲소화성궤양치료제 가스터는 3.9% 증가한 52억원 ▲고혈압치료제 이달비는 5.7% 증가한 30억원 ▲혈소판응집억제제 플라비톨은 17.9% 2025.04.30
동아쏘시오, 1분기 매출 3284억원·영업익 204억원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동아쏘시오홀딩스가 29일 연결 기준 2025년 1분기 매출 3284억원, 영업이익 204억원을 달성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주요 사업회사의 외형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에스티젠바이오와 용마로지스 이익이 개선돼 30.9% 확대됐다. 주요 자회사별 실적을 살펴보면 동아제약은 일반의약품 사업부문 성장 주도로 매출이 전년 대비 7.3% 성장해 1701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공장 노후설비 교체에 따른 일회성 원가 및 판관비 증가로 12.9% 감소해 169억원에 그쳤다. 주요 사업부문 매출을 살펴보면, 일반의약품 분야가 29.4%로 크게 성장하면서 560억원을 달성했다. 하지만 박카스와 생활건강 사업부문은 전년 대비 3.1%, 3.7%씩 감소해 546억원, 50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물류 전문회사 용마로지스는 신규 화주 유치와 주력 산업군인 의약품, 화장품 물류 증가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2% 증가해 1009억원 2025.04.30
국내외 700개 기업·기관 '바이오코리아 2025' 모인다…AI 신약개발·글로벌 거버넌스 등 주목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국내외 700개 기업·기관·투자자가 바이오코리아 2025에 모여 미래 혁신 기술을 논의하고 비즈니스 파트너링을 통해 협력 기회를 모색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9일 바이오코리아 2025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바이오코리아 2025는 5월 7~9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행사는 진흥원과 충청북도가 공동으로 주최한다.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바이오코리아는 '혁신과 협업,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를 주제로 진행되며,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고 최신 기술 트렌드를 조망하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이번 행사에는 55개국에서 700여개 기업·기관이 참여할 예정이다. 참관객은 1만명 이상으로 예상되며, 해외 참여 비율은 약 47%다. 산업육성기획팀 김애영 팀장은 "올해 20주년을 맞아 프로그램의 콘텐츠의 질 제고에 집중했다"며 "매년 주제가 비슷할 수 있지만, 행사 목적에 따라 기술 혁신과 글로벌-국내 기업 간 교류 협력을 중점에 두다 보니 비슷한 포인트 2025.04.30
코넥티브, 버질 홀딩스와 함께 UAE 최초 보건부 승인 AI 정형외과 플랫폼 출시
대한민국 의료 AI 기업 코넥티브가 아랍에미리트(UAE)의 선도적 헬스케어 그룹인 버질 홀딩스와 협력해 아부다비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 DoH)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은 AI 기반 정형외과 평가 플랫폼을 ‘2025 아부다비 글로벌 헬스 위크(Abu Dhabi Global Health Week, ADGHW)’에서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코넥티브와 버질 홀딩스는 행사에서 ▲버질 홀딩스 산하 주요 병원 네트워크에 코넥티브 제품 확장 적용 ▲어깨 및 척추 분야 AI 솔루션 공동 개발 등에 대한 연구도 지속하기로 약속했다. 이번 협력은 한국의 첨단 AI 기술과 UAE 최고의 임상 전문성이 결합한 대표 사례로, 향후 글로벌 환자 중심 의료 혁신 모델 확장의 시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난 16일 아부다비 애드넥 센터(ADNEC CENTRE)에서 개최된 론칭 행사에는 버질 홀딩스 측과 한국 정부 및 의료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버질 홀딩스 측에서는 샴시르 부탈 2025.04.29
제약·바이오 149개사 매출 9.1%…영업익, 두 자릿수로 성장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메디게이트뉴스가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2024년 실적을 분석한 결과 149개사의 전체 매출은 개별기준 34조4135억원으로 전년 31조5440억원 대비 2조8695억원, 약 9.1%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3조4283억원에서 3조9056억원으로 13.9% 늘었다. 149개사 중 매출액이 성장한 기업은 97개사에 달하며, 영업이익 증가 기업은 80개사로 집계됐다. 이처럼 실적 개선세가 이어졌지만, 적자 전환 기업은 13개사, 적자 지속 기업은 41개사에 달해 이익 구조의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2024년 평균 매출액 2310억원…매출 100억원 이상 1000억원 미만 기업, 가장 많아 149개사의 2024년 평균 매출액은 2310억원이다. 전체 기업 중 평균 매출액 이상의 매출액을 달성한 기업은 31개사에 그쳤다. 2023년 평균 매출액은 2117억원으로, 35개사가 평균 매출액을 상회했다. 149개사의 매출액을 구간별로 살 2025.04.29
오름테라퓨틱, ORM-5029 美 임상1상 자진 중단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오름테라퓨틱이 미국에서 진행 중이던 전이성 유방암(HER2) 치료제 'ORM-5029'의 임상1상(NCT05511844)을 중단한다. 오름테라퓨틱은 28일 'ORM-5029 플랫폼에 기반한 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 및 기타 HER2 과발현 악성종양 치료제 자진 중단'을 공시했다. ORM-5029는 HER2 표적항체에 표적단백질 페이로드를 결합한 신규 기전의 항체·약물접합체(ADC)로, 이중 정밀 타겟 단백질 분해(Dual-Precision 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²) 기술을 통해 HER2 양성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킨다. 오름테라퓨틱은 2022년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ORM-5029에 대한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 이후 엔허투 등 기존 HER2 표적치료제에 재발하거나 불응하는 특정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1상 연구에 착수했다. 하지만 2023년 11월 임상1상에 참여한 환자 1명 2025.04.29
빅파마 사로잡은 에이비엘바이오가 기술이전에서 배운 노하우는?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가 바이오 비즈니스에서 가장 중요한 건 '타이밍'이라고 강조했다. 타이밍을 놓치는 순간 딜의 기회가 사라질 수 있는 만큼 협상에 속도가 붙었을 때는 약간의 욕심은 버리고 빠르게 마무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원활한 협상·계약을 위해서는 각 회사와 나라의 문화를 잘 이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대표는 24일 오후 6시 30분 경기도 판교 코리아바이오파크에서 열린 '혁신신약살롱'에서 에이비엘바이오를 소개하고, 라이센싱 아웃의 후일담 등을 공유하며 이같이 밝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최근 자체 개발한 뇌혈관장벽(BBB) 셔틀 기술 '그랩바디-B(Grabody-B)'를 기반으로, 사노피에 이어 GSK와 새로운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특정 후보물질이 아닌 플랫폼을 기술이전한 사례며, 총 계약 규모는 약 4조1000억원이다. BBB는 유해한 물질과 인자가 뇌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막 역 2025.04.29
한국에서 찬밥 신세 '인보사'…미국 TG-C는? FDA 품목허가 신청 앞둬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국내 품목허가 취소된 TG-C(구 인보사)가 미국 임상 3상을 마치고 추적관찰을 진행하면서 재도약 준비를 마쳤다. 이후 식품의약국(FDA) 신청을 계획하는 등 글로벌 시장 진출에 시동을 건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여전히 법정 공방만 이어지고 있어 국내 출시는 불투명하다. 코오롱티슈진은 최근 사업보고서를 통해 TG-C의 미국 임상 3상 환자 투약을 완료하고, 추적관찰기간 종료 후 FDA 품목허가(BLA)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뿐 아니라 24~27일 송도에서 개최된 국제골관절염학회(OARSI) 총회인 2025 World Congress에서 TG-C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소개하고, TG-C가 무릎골관절염 환자의 인공관절 수술을 대체하거나 수술 시기를 늦추는 데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 임상 3상 완료, 2년간 추적관찰 진행…수년 내 미국 FDA 품목허가 신청 세계 최초 골관절염(OA) 유전자치료제인 TG-C는 동종 연 2025.04.28
불면증·수면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약물별 특성 알고 처방해야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전문가들이 수면제 사용에 대한 불필요한 공포를 경계하고, 오해를 바로잡기 위해 불면증을 질환으로 인식하고 오남용 대신 수면제가 필요한 환자를 선별해 처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다양한 수면제의 작용 기전과 특징을 고려해 환자 증상·특성에 따라 적절한 치료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부연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17~18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2025년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창립 80주년 기념 춘계학술대회 및 제68차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18일 진행된 '수면제 처방에 대한 새로운 시각' 심포지엄에서는 불면증과 수면제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 최신 치료 경향을 살펴봤다. 수면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치료 필요한 환자 선별해서 처방해야" 울산의대 정신건강의학과 정석훈 교수는 '수면제는 정말 위험한가: 오해와 진실'을 발표하며, 수면제를 써야 할 사람을 제대로 선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혈압, 당뇨병과 불면증을 비교하며 "고혈압 환자는 혈압 2025.04.28
'근로복지공단 구미의원' 개원...재활치료 중심 구미시 최초 공공의료기관
근로복지공단은 경상북도 구미시 관내 최초의 공공의료기관인 '근로복지공단 구미의원'을 개원하고 본격적으로 외래재활센터 운영을 시작한다고 23일 밝혔다. 구미의원은 근로복지공단이 서울, 광주, 부산에 이어 네 번째로 문을 연 재활전문의원이며 산재근로자와 지역주민, 의료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전문 재활치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시설 규모는 총 1081㎡(327평)으로 진료실, 집중재활치료실, 작업치료실, 작업능력평가실 등을 갖추고 있다. 의료진은 경력이 풍부한 재활의학과 전문의, 간호사, 물리치료사로 구성돼 있다. 주요 서비스는 산재환자를 대상으로 한 1대 1 전문재활치료, 맞춤형 전문재활프로그램, 심리재활치료, 직업복귀프로그램, 업무관련성 특별진찰 등을 제공한다. 특히 직업 복귀를 준비하는 산재근로자들에게 신체기능 향상 및 작업능력 강화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중증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소속병원(대구병원)과의 치료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박종길 이사장은 "구미의원은 산 2025.04.28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