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3.10.08 09:22최종 업데이트 23.10.08 09:22

제보

6세 미만 소아진료하는 '소청과 전문의'만 정책가산?…타과와 '형평성' 논란 촉발

대개협, 복지부 '소아의료 개선대책' '소청과'만 지원하는 정책에 비판 제기…재원도 타과 희생으로 확보된 점 지적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정부가 '소아의료체계 개선대책'의 후속 대책으로 6세 미만 소아 외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진찰료를 가산하는 정책을 발표한 가운데 타과 전문의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6일 대한개원의협의회는 보건복지부가 9월 22일 발표한 소아의료 개선대책에 포함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정책 가산(6세 미만 소아외래 진찰료)'은 즉 소청과 전문의가 진료할 때만 가산이 적용되는 정책으로 똑같이 소아진료를 보는 타과 전문의와의 형평성 문제를 제기했다.

대개협은 "전국민 건강보험체계인 대한민국에서 모든 진찰료는 종별로 전문 과목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게 적용돼왔다. 이번 정책은 6세 미만 소아 진료의 난이도, 위험도가 높아서가 아니라 해당 연령 진료를 보는 특정과를 살리기 위해서라는 논리"라며 "같은 연령, 같은 상병의 환자에 대한 진료비가 전문 과목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차이가 난다면 이는 헌법에 보장된 평등의 원칙에도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대개협은 이번 대책의 재원이 타과의 희생을 통해 확보된다는 점에서 우려를 제기했다.

대개협은 "이미 정부에선 내년 의원급 수가협상 시 부대 요건으로 사상 최저인 내년 의원급 수가 인상분 1.6% 중 0.6%를 활용해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 의료를 살리는 데 활용하겠다고 천명한 바 있다. 이 재원으로 소청과 전문의 정책 가산을 시행하는 것이라면, 이는 결국 다른 진료과 모두의 희생을 바탕으로 특정과에 수가 가산을 시행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며 "6세 미만 소아의 외래진료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진료하면 필수 의료이고 다른 과 전문의가 진료하면 필수 의료가 아닌 것일까?"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개협은 소아 진료에 대해서 과별 구분 없는 정책 가산 적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코로나 전인 2019년도 기준, 6세 미만 소아의 1차 의료기관 외래 진료건수는 5500만 건이고, 이중 소청과 진료건수는 3500만 건으로, 전체 소아환자의 60%는 소아청소년과에서, 나머지 40%는 다른 진료과에서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개협은 "소아외과, 소아비뇨기과, 소아정형외과, 소아이비인후과, 소아신경과, 소아정신과 등 대부분의 과에서 소아 환자 진료를 하고 있으며, 소청과와 마찬가지로 인구감소와 저수가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만일 정책 방향을 잘못 설정한다면 40%의 소아 진료를 담당하던 의료기관에서 진료의 왜곡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대개협은 "필수의료 살리기와 우리의 미래인 소아청소년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소아 진료에 대해서 과별 구분 없는 정책 가산 적용이 필요하며, 이에 필요한 재정도 40%만 추가로 투입하면 가능한 부분이다"라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의원급 수가 인상분의 일부를 활용해 재원을 마련하려는 부대조건은 반드시 폐기돼야 한다고 밝혔다.

대개협은 "이번 대책의 다른 항목들은 병원급 혹은 응급의료 체계 등에 훨씬 큰 규모의 재정 투입을 필요로 하지만 해당 재원 마련을 위해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수가 인상분이 투입되지는 않는다"며 "하지만 1차 의료기관의 경우 수가 인상분 1.6% 중 0.6%를 필수 의료 살리기에 활용하겠다는 발상은 1차 의료 기관의 희생을 감수해도 된다는 논리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나아가 "1차 의료의 붕괴는 결국 의료비 상승을 초래해 국민건강보험제도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윤석열 대통령께서 올해 초 서울대 어린이병원 담화에서 언급하신 것처럼 소아청소년과 살리기에 투입되는 모든 재원은 별도로 마련된 재원을 투입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개협은 "소아 진료는 소아청소년과 한 과에서만 보는 것이 아니다. 소아 진료 인프라를 살리려면 소아청소년과만 살아나는 것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 진정한 소아 필수의료를 살리기를 위해서는 소아 진료를 시행하는 모든 진료과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통하여 정책의 뼈대를 세우고 정부와 함께 시행 방안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일 것이다. 눈앞의 문제만을 틀어막기 위한 미봉책보다는 10~20년 후를 예측하고 대비해 지속 가능하도록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조운 기자 (wjo@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