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0.10.05 14:41최종 업데이트 20.10.05 14:58

제보

코로나19 합병증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2명 확인…감염 2주~4주 뒤 발생

중증·2개 이상 기관 염증 반응으로 면역글로불린 제제 이용해 치료...질병청·소아과학회 모니터링 체계 구축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사진=미국 로체스터헬스 홈페이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에서 코로나19 연관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MIS-C, Multisystem Inflammatory Syndrome in Children) 사례가 2명 확인됐다고 5일 밝혔다.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은 올해 4월 이후 유럽 및 미국에서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보고된 특이사례로, 코로나19에 감염된지 몇주 후에 발열, 발진, 다발성 장기기능 손상 등이 나타나는 전신성 염증반응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연관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의 국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5월 25일부터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 신고사례 7명에 대한 역학조사, 실험실적 검사 및 전문가 회의 결과 2명이 사례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됐으며, 현재 두 사례 모두 증상이 호전돼 퇴원한 상태다. 

첫 번째 사례(11세, 남)는 올해 1월~3월 필리핀 여행력이 있으며, 발열·복통 등으로 4월 29일~5월 11일 입원치료 후 퇴원한 사례다. 5월 25일일  신고돼 5월 31일 최초 전문가 사례판정회의 결과 코로나19 감염 관련 검사결과가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미부합사례로 분류됐으나, 이후 시행된 항체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인돼 9월 28일 전문가 사례판정회의 결과 최종적으로 사례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됐다. 

두 번째 사례(12세, 남)는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해 코로나19에 대해 8월 19일~9월 1일 입원치료 후 퇴원했으나, 이후 발열·복통 등으로 다시 9월 14일~9월 23일 입원치료 후 퇴원한 사례다. 9월 17일 신고돼 9월 28일 역학조사 및 전문가 사례판정회의 결과 사례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됐다. 

해외에서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은 미국 935명(사망19명), 프랑스 79명(사망1명), 영국 78명(사망2명) 등에서 보고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정은경 본부장(질병관리청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나라는 유럽 및 미국 등지에 비해 코로나19 발생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고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의 발생도 드물게 나타난다. 하지만 앞으로 코로나19 연관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사례에 대한 감시 및 조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의대 소아청소년과 최은화 교수. 사진=KTV국민방송 유튜브 캡처 

정례브리핑에 배석한 서울의대 소아청소년과 최은화 교수는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기준은 중증이어야 하고 1개가 아닌 2개 이상의 다기관을 침범을 해야 한다. 가장 많이 침범하는 기관은 위장관계 증상, 심장 또는 발진 등을 동반하는 다기관침범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다른 병원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이기 때문에 사이토카인폭풍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긴 있다. 하지만 2개 이상의 다기관 침범 그리고 중증이라는 측면에서는 부분된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코로나19에 감염된 상태에서 걸린다기보다는 감염으로부터 회복된 후에 2주 내지 4주 정도 경과된 시점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라며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을 가진 아이들이 코로나19에서 반드시 증상을 나타내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치료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고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면역글로불린 제제와 스테이로드 제제 투여의 단독 또는 병합 치료가 있다. 이후 다른 생물학적 제제를 추가적으로 투여해 볼 수 있다. 

최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진단된 2명의 사례는 모두 면역글로불린만으로 치료를 하고 회복됐던 케이스다. 특히 두 번째 입원 중에 빨리 의심했던 그 사례는 아주 조기에 혈압이 떨어지자마자 면역글로불린을 사용해 효과가 아주 빠르게 회복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은 모니터링 체계상에서 놓치지 않고 찾아낼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다만 매우 드문 합병증이기 때문에 이 환자들을 조기에 찾아내고 빨리 치료를 하기 위해서 질병관리청,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를 비롯한 4개 학회가 모두 합쳐서 이 환자들을 잘 찾아내고 놓치지 않으려고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례에 맞지 않는 5건에 대해서는 심한 염증증후군, 또는 패혈증 유사증상, 가와사키병 등의 진단이 내려졌다. 최 교수는 ”코로나19가 아닌 경우에도 이런 합병증을 나타내는 다른 감염원인이 상당히 있을 수가 있다. 또 우리나라에 있는 가와사키병인 경우에도 매우 유사한 증상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솔 기자 (sim@medigatenews.com)의료계 주요 이슈 제보/문의는 카톡 solplusyou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