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0.11.16 05:51최종 업데이트 20.11.16 05:51

제보

코로나19 백신 유력 후보 7개 가격은? 아스트라제네카 4500원~시노팜 8만2000원

최근 90% 예방효과 발표한 화이자는 2만2000원 수준...유럽 선구매 계약 체결 방식에 주목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이 임박함에 따라 백신 가격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5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 따르면, 백신 개발사마다 백신을 통한 수익창출 계획이 상이하며, 1회 접종 기준으로 최저 4달러(약 4500원)에서 최고 72.5달러(약 8만 2000원)에 이른다.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백신을 통한 수익 창출을 목표로 하지 않겠다고 밝힌 아스트라제네카와 존슨앤드존슨은 각각 1회 접종 기준으로 4달러, 10달러로 가격을 제시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정부로부터 각각 약 12억 달러를 지원받기로 약속을 받았고, 존슨앤드존슨과 얀센은 미국 국방부와 생물의약품첨단연구개발국으로부터 10억달러 지원을 약속받았다.

노바백스도 1회 접종 기준으로 16달러, 사노피·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21달러 등으로 비교적 낮은 가격을 책정했다. 이들 기업은 각각 미국 보건복지부로부터 16억 달러, 미국 정부로부터 21억 달러를 지원받는다.

반면 모더나는 백신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1회 접종 기준으로 32~37달러(약 3만 6000원~4만원 정도)의 가격을 책정했다. 모더나 역시 미국 정부로부터 10억달러의 지원을 받을 예정이다.

이는 정부로부터 아무런 지원 약속을 받지 않은 바이오앤텍·화이자보다 높은 금액이다. 바이오앤텍·화이자는 현재 BNT162b2이라는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이며, 1회당 접종 가격을 19.5달러로 책정했다.

시노팜은 정부 지원 계획이 없는 동시에 현재 유력 백신 후보들 중 가장 높은 금액을 받을 예정이다. 1회 접종 기준 72.5달러로 약 8만원에 이른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60% 이상이 백신을 접종해야 집단면역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코로나19 종식의 첫 걸음이라고 했다. 반면 백신 접종 비용을 지불할 수 없는 사람이 많아지면 코로나19 종식 가능성도 낮아진다"면서 "비싼 백신 가격은 접근성 문제를 일으켜 결과적으로 코로나19 종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같은 이유로 백신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고 효과적인 배분을 위해 국제사회가 노력 중"이라며 "실제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는 백신 차등가격제, 공동구매, 저소득국가에 대한 지원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는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감염병혁신연합 (CEPI), 세계보건기구(WHO)를 공동 주관기구로 하는 글로벌 백신 공급기구로, 오는 2021년 말까지 20억회분의 백신을 전 세계에 공평하게 분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0월 기준으로 184개국이 가입해 있다.

GAVI는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저소득 국가와 고소득 국가를 대상으로 백신 가격을 다르게 적용하는 ‘차등가격제(Tiered pricing)’를 추진하고자 백신 개발사들과 협상을 계획 중에 있다.

코백스 퍼실리티 회원국들은 ‘코백스 선시장공약(COVAX Advance Market Commitment)’이라는 자금조달 수단을 구축, 국가 재정을 자발적으로 출자해 개발도상국에 백신을 지원하는 데 사용할 계획이다. 이는 백신 개발사로 하여금 충분한 양의 백신을 생산할 경제적 유인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또한 미국의 임상 및 경제 연구소(ICER)는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에 적용할 수 있는 여섯 가지 가격결정모델을 담은 백서를 출간했다. 백서에는 현상 유지(Status Quo), 비용 회수 가격 결정(Cost-recovery pricing), 가치 기준 가격 결정(value-based pricing), 상금 수여(Monetary Prizes), 강제 실시(Compulsory license), 선시장공약과 구독모델(Advanced Market Commitments And Subscription Models)를 포함한 6가지 대안 모델의 개요, 장단점과 각 모델이 적용된 역사적 사례 등이 소개돼 있다.

현상유지는 특별한 제한 없이 개발사가 자유롭게 가격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비용회수 가격결정은 비용을 분석해 상한가를 설정하고, 가치기준 가격결정은 사용적 효용을 분석해 상한가를 설정하는 것으로 이들 모델 모두 개발사가 특허권 보호를 받는다.

상금수여는 정부가 성공적 백신을 가장 먼저 개발한 기업에 상금을 수여하고, 대신 개발된 백신의 특허권을 정부가 소유하는 방식이다. 제조·유통업체는 정부와 개별적으로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다.

강제실시는 정부가 개발된 백신의 특허를 대상으로 강제실시를 발동, 그 대가로 개발사에게 로열티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특허권자인 개발사의 허락 없이도 제조, 판매, 수입 등 특허 사용이 가능하다.

선시장공약은 정부는 백신·치료제의 개발이 완료되기 전에 대규모 선구매를 약정하는 것으로, 구독모델은 정부가 개발사와 합의한 특정 금액을 지불한 후 필요한 만큼 무제한으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코로나19 백신을 전 세계에 효과적으로 배분하려면 더욱 다양한 방법의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다"면서 "최근 유럽의 사례가 주목할만하다"고 했다. 

유럽 사례는 EU 집행위원회(EC)의 노력에 부응해 유럽연합의 회원국들은 백신 확보를 놓고 회원국 간의 경쟁을 지양하기로 합의했다. EC는 지난 8월 모더나의 백신 후보물질인 ‘mRNA-1273’ 8000만 도스를 구매하기로 합의하고 추후 동일 수량을 추가로 구입하는 옵션을 포함했으며, 이에 앞서 EC는 사노피,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존슨앤드존슨 및 큐어백과 백신 선구매를 논의하고 아스트라제네카와는 선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서민지 기자 (mjseo@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