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1.10.20 19:20최종 업데이트 21.10.20 19:20

제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기술수출 11조 6000억…10조 메가펀드로 임상3상도 지원 필요

[2021국감] 강병원 의원, 국내 후기 임상여건 인프라는 세계적 수준이지만 완제품 개발 전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병원(더불어민주당). 사진=강병원 의원실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국내 제약회사들이 기술수출에서 멈추지 않고 완제품 개발까지 가기 위해서는 정부의 메가펀드 조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병원(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일 보건복지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지난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기술수출이 11조 6000억 수준의 성과를 거뒀으나 제품화 완주로 이어지지 않고, 기술 수출 일변인 국내 제약산업의 현실을 지적했다. 

실제 한국의 신약 개발 연구 효율성은 OECD 20개국 중 상위권에 속한다. 그러나 승인 임상 수, 허가 신약 수 등 개발 효율성은 15위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처럼 후기 임상여건 인프라는 세계적 수준이지만 국내 바이오벤처사의 경우, 기술 수출에 의존하고 있고 애초에 기술 수출을 목표로 가지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강 의원은 "정부의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개발(R&D) 지원은 최대 임상 1, 2상까지만 지원을 한다. 인적 자원, 의료 접근성, 의료데이터 등 최고 수준의 환경에도 신약 개발의 어려움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에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임상 3상의 장벽이 굉장히 높다. 많은 비용이 필요한데 현재로서는 임상 지원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강 의원은 “바이오벤처의 좋은 아이디어를 어떻게든 제품개발로 이어지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며“신약개발의 핵심은 후기 임상의 성공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또한 강 의원은 바이오벤처사의 좋은 아이디어와 가능성은 대기업의 경험과 자본이 더해질 수 있도록 대기업과 매칭을 전제로 하고, 대기업의 경우 공익 목적의 신약 개발에 한 해 지원하며, WTO 통상마찰을 피하고 장기적으로 안정적 투자를 위해 정부 주도의 메가펀드조성을 통해 지원 할 것을 요구했다. 

권 장관은 "제안에 공감한다. 바이오벤처와 기술을 매칭하고 상용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대기업에 대해 공익 목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정부, 민간이 협업해 메가펀드를 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김민석 보건복지위원장도 “바이오헬스케어는 신산업 3대 분야 중 하나로 발전하기 위해선 집단 면역 달성 이후가 골든타임이다”며“국감 이후 보건산업진흥원 주도로 메가펀드 등 클러스터 문제, 백신 허브 추진 문제, 인력 양성 문제를 별도 보고해달라”고 요청했다. 

하경대 기자 (kdha@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