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7.11.10 05:38최종 업데이트 17.11.10 05:38

제보

잠복결핵, 무조건 위험한 것 아니다

국민 30%가 잠복결핵감염, 예방치료로 줄일 수 있어

ⓒ메디게이트뉴스

[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가 잠복결핵을 모두 결핵으로 추정해 크게 오해하거나 문제 삼는 것에 대해 경계심을 드러냈다.
 
다만 학회는 잠복결핵이 활동성 결핵이 되지 않도록 하는데 노력해야 하며, 결핵감염 혹은 발병의 위험이 높은 군을 대상으로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는 9일 '2017년도 제124차 추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결핵 현황 및 의료기관 종사자의 결핵관리 등에 대해 설명했다.
 
최근 의료기관에서 결핵이 발생하거나, 병원 종사자들의 잠복결핵 감염이 심각하다는 등의 내용이 잇따라 언론에 나오면서 이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심태선 교수(사진)는 "결핵균이 있다고 하더라도 바로 감염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흔치 않다. 대부분 수개월이나 1년, 심하면 몇 십년동안 잠복기에 들어간다"면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잠복결핵자 중 실제 감염이 되는 활동성 결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심태선 교수는 잠복결핵감염자는 전체 국민의 1/3 수준이며, 수면위에서는 보이지 않는 빙산의 일각과 같다고 설명했다.
 
활동성 결핵을 치료하더라도 여전히 발생하지 않는 잠복결핵감염자는 존재하고, 따라서 치료율이 높아도 잠복해있기 때문에 결핵감소 또한 어렵다는 것이다.

심 교수는 "그렇다고 잠복결핵감염자를 모두 찾아서 예방치료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잠복결핵자 10%만이 실제 결핵으로 발생한다. 중요한 것은 결핵이 발생했을 때 조기진단과 치료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잠복결핵이라고 모두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며, 고위험군인 잠복결핵자들을 찾아내 검사하고, 양성반응이 나왔을 때 바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심태선 교수는 "확률이 높은 위험군을 타겟으로 잡아서 접근하는 'target approach'를 해야한다"면서 "이들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먼저 최근 전염성 결핵환자를 접촉한 사람들과 결핵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인, 당뇨 등 기타 질환을 가졌거나 면역력이 저하된 결핵발병 고위험 조건을 가진자가 그 대상"이라고 밝혔다.
 
심 교수는 "이들은 결핵감염 위험률이 높기 때문에 타겟으로 선정하고,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라면서 "보통 의료종사자들 중 잠복결핵이 많다고 하면 의료기관을 비난하지만, 전체인구 30%가 잠복결핵자임을 감안하면 꼭 의료기관을 탓할 수만은 없다. 예방치료를 하면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심태선 교수는 의료기관 내 활동성 결핵관리뿐 아니라 잠복결핵감염에 대한 관리도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의료종사자 교육 및 홍보 또한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잠복결핵을 크게 문제 삼지 않는 의료인들의 인식을 자각시키고,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마련한 결핵진료지침을 의료기관 등에 제공해 알린다는 설명이다.
 
한편 결핵진료지침에 따르면 의료기관 종사자는 1~4군으로 구분되며, 1~2군에 해당하는 종사자는 주기적으로 검사를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한 1~2군 의료기관 종사자는 결핵감염이 양성이면 반드시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시행해야 하며, 3~4군은 조건에 따라 치료여부를 결정하도록 나와 있지만 국가결핵관리지침에는 모든 의료종사자에 대해 치료를 권고하고 있기도 하다.

#결핵 # 잠복결핵 # 감염 # 의료기관 # 의료인 # 의사 #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 발병 # 추계학술대회 # 결핵균 # 치료 # 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jhhwang@medigatenews.com)필요한 기사를 쓰겠습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