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김성근 대변인은 이날 메디게이트뉴스에 "박단 전 위원장이 의협 부회장직을 수행한 것은 대전협 비대위원장 자격으로 받은 것이 아니다. 이 때문에 (신임 대전협 비대위원장이) 그 자리를 요구하는 것은 틀린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는 (대전협 비대위 측의) 정당한 요구를 의협 집행부가 거부한 것이 아니라는 취지다. 같은 논리라면 민노총 위원장 출신이 고용노동부 장관이 됐으니, 향후 장관은 모두 민노총에서 나와야 하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대전협과 소통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도 "소통은 계속하고 있다. 어제(7일)도 함께 회의 후 김민석 총리와 만났다"며 "첫 만남에서 의협은 열려있으니 언제든 방문해서 상임이사실을 활용하라고 얘기했다"고 답했다.
의협 정관에 따르면 각 지부, 의학회 및 각 협의회를 대표하는 이사는 각 단체로부터 추천을 받아 회장이 임명하고 대의원총회에 보고한다. 그간 대전협 회장은 의협 정책이사로 임명돼왔다. 김택우 의협 회장은 의정갈등 상황에서 전공의, 의대생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올해 1월 박단 전 대전협 위원장을 특별히 부회장으로 임명했다.
한편, 의료계 내에선 한성존 위원장이 실제로 의협 측에 부회장직을 요청했는지를 두고 사실 여부에 대한 갑론을박이 있었다.
이에 대해 한성존 위원장은 "직접 (부회장직을) 요청하진 않았다. 다만 그 자리가 상징적으로라도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대전협 내부적으로) 어느 정도 있었고 이를 공감하는 분이 (의협 측에) 얘기를 꺼냈다"며 "의협 측 답변은 '기존 임원들의 사퇴처리가 되지 않아 논의 중이다'였다"고 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