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호흡기 바이러스를 치료할 새로운 물질인 '인터페론-람다(Interferon-λ)'가 최근 발견돼 눈길을 끌고 있다.
호흡기 바이러스는 집단감염 위험성이 있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는데, 전염을 통해 변종이 발생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다.
지난 2008년 유행했던 신종플루와 2015년 큰 이슈를 일으킨 중동호흡기증후군 모두 전염성이 강한 호흡기 바이러스 질환.
최근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김현직 교수팀은 호흡기 바이러스에 '인터페론-람다'가 다른 인터페론보다 더 강력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내성기전으로 항바이러스 기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인터페론-알파, 베타와 달리 호흡기 질환의 새로운 치료물질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인체에 바이러스가 침입하면 면역 체계가 활성화 되는데, 이를 조절하는 핵심물질이 인터페론이다.
인터페론은 바이러스 감염의 일차 방어 역할을 수행하고, 바이러스는 이를 무력화하기 위해 다양한 변이를 일으켜 내성을 가지게 된다.
연구팀은 인터페론 간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세포배양 및 동물 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에서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의 진행경과를 관찰했다.
인터페론-람다와 베타를 제거한 각각의 실험군을 비교한 결과, 인터페론-람다가 활성화되지 않은 쥐의 몸무게는 27% 더 감소했으며, 생존비율은 50% 더 낮아졌다.
연구팀은 "이밖에도 인터페론-람다는 호흡기로 투여 시에 강력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였으며, 다른 인터페론 보다 바이러스 감염 억제에 탁월한 능력을 보였다"고 밝혔다.
김현직 교수는 "인터페론을 이용한 선천성 면역체계 강화 기전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아직은 실험연구 단계이지만 향후 항바이러스 약제 및 백신 개발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호흡기학회 연구지(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Cell and Molecular biology)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메디게이트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호흡기질환
# 바이러스
# 항바이러스
# 인터페론람다
# 서울대병원
# 김현직
# 이비인후과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