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11.30 11:00

"원자재 수급·미중 갈등에…국내 제조업, 내년 실적 회복세 둔화 예상"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코로나19 이후 기저효과 감소, 원자재 수급 불안, 미·중 무역 갈등을 비롯한 불확실성의 지속으로 인해 국내 주력 제조업의 실적 회복세가 내년에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내년 제조업 수출 증가율이 올해에 비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가전·철강 업종은 매출이 줄고 조선업계는 크게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30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반도체, 자동차, 정유, 조선, 철강, 디스플레이, 자동차부품, 섬유, 가전, 바이오헬스 등 10개 수출 주력 업종 협회를 대상으로 '2021년 실적 및 2022년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 업종의 올해 전체 평균 매출액은 전년대비 14.7%, 수출액은 24.1%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내년에도 매출액은 올해보다 4.9%, 수출액은 3.3% 증가하는 등 2년 연속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내년에는 기저효과가 줄면서 성장세가 약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수출액의 경우 올해 성장률의 7분의 1에 불과할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조선, 자동차 업종의 매출 감소가 예상된다. 조선업계의 매출 급감은 원재료인 후판(두께 6㎜ 이상의 철판) 등의 가격급등에 따른 원가 손실을 공사손실충당금으로 선반영한 결과다. 자동차 업계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생산 차질과 내수 감소로 전년대비 5%까지 역성장이 추정됐다.
내년에는 가전, 철강 업종 등이 올해보다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가전업계는 프리미엄 제품군 수요 확대 등 코로나19로 인한 특수 효과가 줄면서 매출이 5~10%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철강업계는 글로벌 수요 둔화와 수출단가 조정의 영향으로 매출이 5%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봤다. 디스플레이와 반도체업계는 각각 패널과 메모리 가격 하락을 반영해 올해와 유사한 수준의 실적이 전망됐다.
반면 조선업계는 수주 증가와 선가 상승에 힘입어 2021년 대비 20% 이상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섬유(해외 한류 재확산과 미국의 중국산 제재에 따른 반사이익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증가) ▲정유(위드 코로나 전환으로 항공유 수요 증가) ▲바이오헬스(바이오의약품 수출 지속 확대) 업종 등도 올해보다 매출이 5~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올해 조선업계를 제외한 모든 업종의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상승할 전망인 반면 내년에는 가전, 디스플레이, 반도체, 철강 업종의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국내 주요 업종 협회들은 최근 국내 수출기업의 현안으로 부상한 원자재 수급 불안,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보호무역주의가 내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원자재 수급의 경우 '올해보다 약간 악화'(60.0%)되거나 '매우 악화'(10.0%)될 것으로 평가했으며 약간이라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는 업계는 한 군데도 없었다. 미·중 무역 갈등 역시 '약간 악화'(70.0%)될 것으로 전망하는 업계가 가장 많았다.
반면 내년 국내 경제 전반의 상황에 대해서는 '올해와 비슷'(50.0%)하거나 '약간 개선'(40.0%)될 것이라는 전망이 압도적이었다. 기업의 국내 투자는 올해보다 '약간 개선'(60.0%)될 것이며, 국내 고용은 '비슷할 것'(70.0%)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기업 경영활동 관련 우려 사항으로는 '규제 및 경쟁제한'(30.0%)의 답변율이 가장 높았고 '주 52시간 근로제로 인한 인력 운영 애로 등 노동 부담'(20.0%), '온실가스 감축 부담'(15.0%) 등이 뒤를 이었다.
10개 수출 주력 업종 협회들은 기업 경영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기업 투자활동에 대한 세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30.0%)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주요 수출국 통상여건 개선 노력 ▲노동유연성 확대 및 임금 안정화 ▲산업수요에 부응하는 인력양성이 필요하다고 봤다.
전경련은 수출 주력 업종 협회들이 밝힌 애로사항과 희망 정책을 기반으로 내년 국내 주력 제조업의 5대 변수를 '타이거(T·I·G·E·R)'라고 제시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세제, 인플레이션, 글로벌 공급망, 환경기준, 규제의 영문 머리글자를 조합해 요약했다고 설명했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원자재 가격 불안정과 공급망 차질의 악재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의 재확산도 여전히 불안 요인"이라면서 "내년에 기업들이 어려운 여건을 돌파할 수 있도록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