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19:26

'문제 해결 없이 왜 복귀?' 지적에 의대협 이선우 위원장 "배정심사위 신설화 등 신뢰 형성"

조병욱 위원장 "더블링 막으려 학교 떠났나" 문제제기…이선우 위원장 "의학교육위원회 신설 6년간 교육 모니터링 건의"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아무것도 해결된 것이 없는데 의대생들이 왜 전원 복귀하느냐'는 일부 의료계 지적에 대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이선우 비대위원장이 "의대정원 배정심사위원회 등과 같은 기구를 상설화하는 내용을 제안했고 정부와 종합적인 신뢰가 쌓였다"고 답했다. 또한 이 위원장은 가칭 '의학교육위원회'를 신설해 최소 6년간 각 대학에서 의학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건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이선우 위원장은 12일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와 신뢰, 문제인식 확립'을 이유로 전원 복귀를 밝혔다. 이후 의료계 내부 일각에선 일부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임현택 전 회장은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얻은 것 하나 없이 상처만 남긴 채 사태가 끝나게 된 것에 대해 전체 의대 학생들에게 무릎 꿇고 사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의협 김경태 감사도 "트리플링만 막기 위한 졸속 합의, 사실상 백기투항에 가깝다"고 비판했다. 미래

2025.07.1221:36

의대생 복귀 앞장선 김영호·박주민 위원장 "학생·교수 모두 상처 많아…모두 보듬고 통합 이뤄낼 시점"

의대 학장·교수 등 폭넓게 만나며 의학 교육 정상화 위한 에너지 모인 상태…최우선 과제로 교육 정상화 해결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의대생들이 의과대학 전원 복귀를 밝힌 가운데,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위원장과 보건복지위원회 박주민 위원장이 12일 "(장기간 의학 교육이 멈추면서 의대생, 교수 등) 상처가 많은 상태다. 이런 부분을 우리가 보듬어 가면서 통합을 이뤄내겠다"고 의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박주민 위원장은 이날 오후 8시 대한의사협회 강당에서 진행된 '의대교육 정상화 관련 기자회견'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의대생들이 복귀를 결정하게 된 것은 신뢰 관계가 쌓인 것이 크다. (전 정부에선) 약속을 하더라도 지켜질 것이라는 신뢰가 없었다"며 "(이번 복귀가 마치) 전 정부에 면죄부를 주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의대생들이 원치 않는다는 얘기도 들었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의학 교육이 이번에 정상회되지 않으면 의사를 배출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 어려움은 공공(의료)이라든지, 군의관을 배출하는 것을 포함해 의료 취약 지역의 타격으로 이어진다"며 "

2025.07.1221:06

[속보] 1년 6개월 학교 떠났던 의대생들 "전원 복귀할 것…교육 현장 개선 위한 협의체 만들어야"

국회 교육위·복지위원장, 학사 일정 정상화 통해 의대생들 복귀 도울 수 있도록 대통령·정부에 건의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의과대학 정원 2000명 증원 정책에 항의하며 약 1년 6개월 가량 의과대학을 떠났던 의대생들이 12일 "전원 학교로 돌아가겠다"고 밝혔다. 국회, 정부 등과 신뢰가 확립됨에 따라 최대한 빠르게 현장으로 복귀해 의학교육 정상화에 힘쓰겠다는 취지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이선우 위원장, 대한의사협회 김택우 회장,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위원장, 보건복지위원회 박주민 위원장은 이날 오후 8시 의협 강당에서 '의대 교육 정상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날 의대협 이선우 위원장은 "국회와 정부를 믿고 학생 전원이 학교에 돌아감으로써 의대 교육과 의료체계 정상화를 위해 힘쓰겠다"며 "지난 봄부터 국회와 활발히 소통하고 정부와도 신뢰, 문제의식이 확립됐다. 정부와 국회가 제시한 의학교육 정상화 방안을 신뢰하고 의정갈등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학생으로서 배움의 과정에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정부와 국회에 부탁한다. 교육과 수련현

2025.07.1117:12

'자보 보장법' 반대 궐기대회까지 불사한 한의협…"환자 건강권 침해" vs "과잉진료 방지"

경상환자 8주 초과 진료받으려면, 보험사에 자료 제출…민간 보험사 부담 줄이기냐 보험재정 누수 방지냐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대한한의사협회가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 철회를 요구하며 국토교통부 앞에서 궐기대회를 개최하는 등 총력 투쟁을 예고하고 있다. 한의협은 교통사고 경상환자가 8주 초과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관련 자료를 직접 보험사에 제출하도록 하는 내용이 국민 건강권과 진료권 침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자동차보험 진료 장기화와 과잉진료 방지를 위해 마련된 심사기준으로 합당하다는 반박도 제기되고 있다. 11일 의료계에 따르면 한의협 중앙회와 시도시부가 지난 10일 세종시 국토교통부 앞에서 300여명의 회원과 함께 '국토부의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자배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악 철폐를 위한 중부권역 궐기대회'를 개최하고 임원들은 삭발 투쟁을 강행했다. 앞서 윤성찬 한의협 회장이 국토부 앞에서 개정안 철회를 촉구하는 1인 시위를 펼친 것에 이어 대규모 집회는 이번이 처음이다. 문제가 된 국토부의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