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915:58

의대교육지원관 폐지? 의학교육계 ‘우려’…교육부는 ‘기한 연장’ 요청

한시 조직으로 다음달 31일 폐지 예정…더블링∙지역의사제 등 주요 현안 앞두고 정부 소통 창구 사라질 수도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교육부가 의정 갈등 기간 의대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한시 조직으로 신설했던 의대교육지원관의 폐지를 앞두고 의학교육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19일 교육부∙의료계에 따르면 의대교육지원관은 다음달 31일을 끝으로 폐지가 예정돼 있다. 의대교육지원관은 기존에 의대 업무를 맡던 인재정책실의 업무가 의정 갈등으로 과중해지며 한시적으로 설치된 조직이다. 의정 갈등 과정에서 의대생들과의 갈등이 부각되기도 했었지만,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를 비롯한 의학교육계는 의대교육지원관을 통해 정부와 지속적인 소통이 가능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의학교육지원관은 현재 의대 교육 정책을 자문하는 의대교육자문단에도 당연직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에 의학교육계는 의대교육지원관을 폐지할 게 아니라 상설 조직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24∙25학번 더블링(중복), 지역의사제 도입에 따른 입시 및 교육 문제는 물론이고 의대 문제에 대해 장기적으로 협력해 나갈 소통 창구가 필

2025.11.1808:22

지역의사제로 의사 등급화 '우려'…환자단체 "출신 대학으로 차별 안 해"

17일 국회 공청회서 위헌 소지 문제 등 다뤄…여∙야∙전문가들 "제도 성공 위해 파격 지원 필요" 한 목소리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정부, 여당이 추진 중인 지역의사제를 놓고 17일 열린 국회 공청회에서 제도의 위헌성과 의사 등급화 우려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파격적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쏟아졌다.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개최한 지역의사제 국회 공청회에서는 현재 국회에 발의된 지역의사제 법안들을 둘러싸고 다양한 의견들이 제기됐다. 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박지용 교수는 의료계가 지속적으로 지적해 왔던 10년 의무복무 조항 등의 위헌성 논란을 일축했다. 박 교수는 “의무복무는 모든 의사가 아니라 지역의사제라는 경로를 자발적으로 선택한 이에게만 적용되고, 지원자는 대학의 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정보에 입각해 선택하는 것”이라며 “여기에 국가는 (의무복무에 대한) 반대급부로 학비를 전액 지원하기 때문에 이는 일방적 강제가 아니라 쌍무적 계약 관계의 성격을 갖는다”고 했다. 이어 “법익의 균형성 측면에서 보더라도 법률안이 달성하려는 공익은

2025.11.1722:15

의협, 검체검사 정부 정책 방향성 존중?…박근태 위원장 "11월 건정심 통과 막고 추가 협의하겠다는 취지"

17일 검체검사수탁 인증관리위원회 3차 회의 개최…의료계 "보상체계 확실히 마련할 것"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대한의사협회가 17일 검체검사 위·수탁 제도 개선과 관련해 "정부의 검체검사 위수탁 개편 방향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해당 발언은 이날 오후 2시에 열린 검체검사수탁 인증관리위원회 3차 회의에서 나왔다. 복지부는 회의에서 현행 고시 취지대로 위·수탁기관별 수가를 신설해 청구방식을 개선하고, 개편 과정에서 환자 불편 최소화, 개인정보 및 검체 관련 법령 준수, 위수탁기관 행정부담 효율화 등을 고려하여 관계 기관과 함께 청구서식 개정·마련, 대조심사, 시스템 개선 등을 추진하겠다고 보고했다. 또한 복지부는 검체채취 등 검사료와 보상영역이 중첩되는 위탁검사관리료는 폐지하고, 검사료 내에서 위·수탁기관별 수가를 신설하는 방안을 보고했다. 이 자리에서 상대가치점수 상시 조정 과정에서 위탁검사관리료 폐지와 위·수탁기관별 수가 신설 등에 따른 재정영향을 검토할 계획이며, 위·수탁 보상체계 개편 시행시점은 상대가치점수 상시 조정 시행시점과 통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