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협회 AI센터, AI 신약개발 이론교육 이어 현장교육 수강 조기마감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는 지난 6월 팜코랩(Pharmcolab) 사업 참여를 신청한 11개 기관 중 6개 기관을 협력교육기관으로 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팜코랩은 현장 중심 AI 신약개발 협력교육이다. 이와 함께 AI 신약개발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라이드(LAIDD)는 오픈 7일 만에 514명의 수강생이 몰려 조기 마감했다. 라이드와 팜코랩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시행하는 ‘AI 활용 신약개발 교육홍보사업’의 핵심 프로그램이다. 팜코랩 교육기관 중 계절학교를 운영하는 성균관대학교(기초과학연구소)와 생명정보학회는 교육 정원 35명과 50명을 모집공고 조기 마감했다. 성균관대학교는 지난 8월에 3일간의 AI 신약개발 집중교육을 실시했고, 생명정보학회는 9월 22~23, 29~30일 실시한다. 오는 10월 21일 개최되는 바이오인포(BIOINFO)2022 행사에서 '교육 및 실습과제 수행 성과발표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현장교육은 대웅제 2022.09.16
아이쿱, 서울시내과의사회와 만성질환 디지털 교육 콘텐츠 분야 협력
아이쿱은 서울시내과의사회와 만성질환 디지털 교육 콘텐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15일 밝혔다. 만성질환 관리 플랫폼 전문기업인 아이쿱은 이번 협약을 통해 자사의 만성질환관리 플랫폼 ‘닥터바이스’를 활용, 만성질환 시장 정보 공유와 만성질환자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디지털 교육 콘텐츠 개발에 서울시내과의사회와 상호 협력키로 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환자 교육 콘텐츠 제작 ▲환자 교육 콘텐츠 상호 교환 및 공동 활용 ▲환자 맞춤형 교육 추천 알고리즘 개발 ▲마트케어코디네이터 활용 방안 연구 등이다. 조재형 아이쿱 대표는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은 합병증 발병률 감소를 위해 적절한 치료와 함께 생활 습관 개선 등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면서 "서울시내과의사회와 협업해 만성질환자교육 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이뤄가겠다"고 말했다. 이정용 서울시내과의사회 회장은 "서울시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아이쿱이 보유한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고도화와 콘텐츠 자문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 2022.09.16
VC투자 비(非)바이오·의료분야로 눈돌리면서 바이오기업 기술특례상장도 감소세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벤처캐피털(VC) 투자와 기술특례상장이 수년간 바이오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여왔으나, 최근 투자 업종이 다변화하면서 그 비중이 낮아지고 있다.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한국벤처캐피털협회·한국거래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VC 신규투자는 지난 2018년 3조4249억원에서 2019년 4조2777억원, 2020년 4조3045억원, 2021년 7조6802억원, 올해 상반기 4조61억원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의료 업종은 지난 2018∼2020년 벤처캐피털의 최대 투자처였다. 한국벤처캐피털협회 기준 바이오·의료 업종의 신규 투자 금액은 2018년 8417억원, 2019년 1조1033억원, 2020년 1조1970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반면 2021년~2022년 VC 투자액수가 두 배 가까이 증가했음에도 바이오 투자액은 전년과 비슷한 1조6770억원에 그치면서 순위가 2위로 하락했고 올해 상반기 2022.09.16
유한양행, 프로젠과 바이오 혁신신약 공동 개발 추진
유한양행은 프로젠과 바이오 혁신 신약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연구협력으로 양사는 바이오 혁신신약 개발을 더욱 가속화할 예정이며, 국내 연구역량이 뛰어난 바이오벤처와 대형 제약기업의 성공적인 신약 공동개발의 모델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이번 MOU 체결을 통해 프로젠이 보유한 다중 표적 항체 기반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고, 혁신적인 신약개발의 기초연구에 대한 협력을 추진한다. 또한 바이오신약 후보물질의 공동개발 추진, 초기 신약 후보물질의 기술이전과 상용화 협력을 진행하며, 상호 교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유한양행 조욱제 대표는 "기초연구 역량이 높은 프로젠과의 협력을 통해서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바이오 신약 개발이 진행되고, 향후 유한양행의 바이오 신약 개발 역량을 한층 더 강화시켜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프로젠 김종균 대표는 "오픈이노베이션 리더인 유한양행과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난치질환 환자들에게 필요한 2022.09.16
동아ST, 미국 뉴로보 파마슈티컬스와 글로벌 라이선스 아웃·지분 투자 계약
동아ST(동아에스티)는 미국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와 글로벌 라이선스 아웃 및 지분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동아에스티는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과 나스닥 상장사로서 자금 조달이 용이한 뉴로보를 기점으로, DA-1241과 DA-1726의 글로벌 개발과 상업화를 가속화할 방침이다. 또한 지분 취득을 통해 뉴로보를 동아쏘시오그룹의 글로벌 R&D 전진기지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번 계약에 따라 동아에스티는 2형 당뇨병·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DA-1241과 비만·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DA-1726 등의 전세계 독점 개발권, 한국을 제외한 전세계 독점 판매권 등을 뉴로보에 이전한다. 또한 동아에스티는 계약금, 단계별 마일스톤, 매출액에 따른 로열티를 받고, 제품의 임상 시료와 상업화 후 제품 생산을 담당한다. 뉴로보는 DA-1241과 DA-1726의 글로벌 임상 개발·허가, 판매를 담 2022.09.15
지씨씨엘, 프리즘씨디엑스-테라노비스와 임상연구 협력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지씨씨엘은 15일 프리즘씨디엑스, 테라노비스와 공동학술연구 및 임상연구 협력을 위한 3자 간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3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공동연구 및 기술지원▲연구 시설 및 장비 등의 공동 활용 ▲ 검사 위∙수탁, 학술, 기술이전 및 정보 공유 등을 협력키로 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양송현 지씨씨엘 대표, 윤병인 지씨씨엘 사업개발본부 본부장, 배동준 프리즘씨디엑스 대표, 김상엽 테라노비스 대표, 우경철 테라노비스 연구소장 등이 참석했다. GC녹십자 계열 지씨씨엘은 식약처 GCLP(Good Clinical Laboratory Practice) 인증기관으로 임상 1상부터 4상까지 임상시험 전 주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상시험 검체 분석 전문기업이다. 글로벌 품질 기준에 맞춘 다양한 분석 플랫폼과 자체 검체 운송 물류시스템을 기반으로 아시아 권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파트너사들의 임상시험 검체 분석을 지원하고 있다. 프리즘씨디엑스는 국내 최초로 다중 면역형광법(Multiplex I 2022.09.15
한미약품, 유럽서 랩스커버리 기반 혁신신약 임상 등 3건 공개
한미약품은 최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럽임상영양대사학회(ESPEN)에 참가, 월 1회 투여 제형으로 개발 중인 단장증후군 치료 혁신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글로벌 임상2상 내용을 공개했다. HM15912(LAPSGLP-2 analog)의 글로벌 임상 2상과 함께 LAPSGLP-2 analog+에페글레나타이드(LAPSExd4 analog) 병용의 염증성장질환(IBD)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한 비임상시험 2건도 발표했다. 우선 한미약품은 '단장증후군-장부전(SBS-IF) 환자를 위한 새로운 GLP-2 유사체(HM15912)의 진행 중인 임상 2상'을 주제로, 임상 디자인과 대상자 선정 기준, 임상 기간, 목표 수치 등에 대한 세부 내용을 포스터 발표로 소개했다. 한미약품은 최근 글로벌, 국내 단장증후군 환자 대상으로 HM15912 단독투여 임상 2상을 시작했다. HM15912는 GLP-2(glucagon-like peptide 2) 유사체(analog)에 한미약품의 약물 지속형 플랫 2022.09.15
안국약품,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진단 의료기기 '헬리코싸인 드라이' 공급 계약
안국약품은 안국바이오진단과 헬리코박터파일로리(H.pylori)균 감염을 진단할 수 있는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젠바디 ‘헬리코싸인 드라이(Helicosign Dry)’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자회사인 안국바이오진단과 계약을 통해 젠바디의 헬리코싸인 드라이를 공급받는다. 안국바이오진단은 면역·분자 진단 유통 및 제조업체다. 헬리코싸인 드라이는 위점막 생검조직을 이용해 위장 내 H.pylori균이 생성하는 요소분해효소(Urease)의 활성을 정성적으로 측정, H.pylori 감염 진단에 도움을 주는 체외진단용 의료기기다. 우리나라 일반 인구에서 H.pylori 유병률은 50% 이상으로 나타나며(Gastroenterology. 2017;153(2):420-9.), 신속요소분해효소 검사를 받는 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보건의료빅테이터개방시스템, 2018~2021) 더 편리하고 빠른 검사를 원하는 수요가 많아질 전망이다. 헬리코싸인 드라이는 1시간 이내로 H.p 2022.09.15
유한양행,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연구개발기업 '에이투젠' 지분 인수
유한양행은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연구개발기업 에이투젠의 지분을 인수했다고 15일 밝혔다. 유한양행은 이번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식의약품 소재 전문 연구개발기업인 에이투젠 지분 인수를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개발,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사업 확대에 나선다. 유한양행은 기존 주식의 인수를 통해 1대 주주의 지위를 확보했으며, 내년초 별도의 유상증자를 통해 추가 지분을 확보할 예정이다. 동시에 양사는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를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분야와 인간의 장내 미생물총 조절을 통해 치료 효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바이옴치료제 분야에서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하기로 협약했다. 에이투젠은 독자적인 개발 플랫폼을 바탕으로 대사성질환, 면역질환, 근육질환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동시에 특정한 기능성을 가지는 건강기능식품 프로바이오틱스 소재 개발에도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약 1조원에 육박하는 시장성을 가진 프로바이오틱스 소재 2022.09.15
서지넥스, '담석용해제 개발'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
서지넥스는 지난 7일 담석용해제 개발사업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단장 묵현상)의 신약 R&D 생태계구축사업과제로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서지넥스는 담석용해제 개발을 위한 연구비를 2년에 걸쳐 지원받는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약개발의 전주기 단계를 지원하는 범부처 국가 R&D사업이다. 현재 담석증은 전세계 선진국 성인인구의 15~20%에 해당할 만큼 고빈도질환이지만 현재까지 마땅한 치료제가 없어 환자들은 외과적 수술에만 의존해 왔다. 하지만 몇몇 담석제거를 위해 담낭전체를 제거해야만 하는 번거로움, 담낭절제 이후 소화불량 및 잦은 설사 등이 나타나는 담낭절제 후 증후군 및 무증상 담석증에 대한 예방적 조치의 필요성 등으로 새로운 기전의 신약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회사측에 따르면, 신담석용해제의 효과를 햄스터 및 돼지실험에서 입증했으며 기존의 제품보다 부작용을 현격히 줄이면서도 최대 175%향상된 2022.09.15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