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델비 이어 아스트라제네카 TROP2 ADC도 폐암서 OS 통계적 유의성 도달 못해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가 엔허투(Enhertu, 성분명 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 다음으로 준비하고 있는 항체약물접합체(ADC) 다토포타맙데룩스테칸(Dato-DXd)의 비보세포폐암(NSCLC) 전체 생존율(OS) 데이터를 공개했다.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개선 효과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는 이전에 최소 한 가지 이상의 치료법으로 치료받은 적이 있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TROPION-Lung01 3상 시험의 탑라인 결과를 공개했다. 발표에 따르면 Dato-DXd 치료는 OS와 무진행 생존율(PFS) 이중 1차 평가변수를 충족했다. 그러나 OS만 분석했을 때 결과는 전체 환자군에서 통계적 유의성에 도달하지 못했다. 다만 비편평 비소세포폐암 하위 그룹에서 현재 표준 치료 화학요법인 도세탁셀에 비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개선을 보였다고 회사 2024.05.29
압타바이오, 바이오 USA 참가…당뇨병성신증 치료제 등 기술수출 논의
압타바이오가 6월 3~6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에 참가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작년의 두 배 규모인 2만 명 넘게 등록하여 많은 기대를 받고 있으며 주요 글로벌 빅파마를 비롯해 국내외 유명 제약사 등이 연구개발 성과를 공유하고 파트너십을 모색할 예정이다. 압타바이오는 당뇨병성신증 치료제 아이수지낙시브(APX-115), 급성신손상치료제와 암연관섬유아세포(CAF) 표적 차세대 면역항암제, 차세대 황반변성 치료제(AB-19) 등의 기술수출 논의를 적극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당뇨합병증치료제인 당뇨병성신증 치료제는 올해 임상 2b상에 진입 예정이다. 연관된 파이프라인인 조영제유발급성신손상 치료제는 당뇨병성신증 임상2상에서 확인된 1차 평가지표인 UPCR(Urine Protein Creatinine Ratio)이 현저히 개선된 것이 확인됐다. AB-19는 면역항암제와 차세대 황반변성 치료제를 개발중인 파이프라인이다. 동물실험에 2024.05.28
에이비엘바이오 파트너사 시스톤, ASCO 2024서 ABL202 임상 결과 발표
에이비엘바이오는 파트너사 시스톤 파마슈티컬스(CStone Pharmaceuticals)가 CS5001(ABL202, LCB71)의 진행성 고형암 및 림프종 환자 대상 임상 1a/b상 데이터를 미국임상종양학회(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SCO) 2024에서 포스터로 발표한다고 28일 밝혔다. 포스터 제목은 '진행성 고형암 및 림프종 환자 대상 ROR1 ADC CS5001에 대한 글로벌 다지역, 임상 1a/b상 연구(A phase 1a/b, multi-regional, first-in-human study of CS5001, a novel anti-ROR1 ADC, in patients with advanced solid tumors and lymphomas)’다. 초록에 공개된 데이터에 따르면 CS5001은 임상 1a상 첫 8개 용량군(7~125μg/kg)에서 용량 제한 독성(DLT)이 관찰되지 않고, 최대 허용 용량(MTD)에도 도달하지 2024.05.28
베르티스, 'BIO USA 2024'서 해외 사업 파트너 찾는다
베르티스가 6월 3~6일 미국 샌디에이고 컨벤션 센터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바이오 컨퍼런스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USA 2024)에 참가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BIO USA 2024에서 베르티스는 두 차례 기업 소개 발표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임상 프로티오믹스 기술의 발전을 조명하고 베르티스가 상용화에 성공한 프로테오믹스 기반 조기진단 검사를 비롯한 주요 연구 개발 현황과 사업 성과를 공유해 글로벌 바이오제약 기업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업개발 기회를 모색하기 위한 활동들을 펼친다. 첫번째 기업 소개 발표는 행사 첫날인 6월 3일 오후 6시(현지시간) Aquillius Innovation Hub에서 인베스트서울, 서울바이오허브 등이 주최하는 ‘서울 바이오/헬스케어 유망기업 IR 네트워킹 데이(Seoul Bio Forum)’에서 진행된다. 국내 BIO USA 2024 참여 기업들과 미국 진출과 투자유치를 위한 VC 및 미국 진출 전문성을 보유한 바이오 테크 2024.05.28
KRPIA "'환자 중심' 치료 환경과 신약의 혁신가치 인정되는 선순환 생태계 조성해야"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가 30일 개원하는 제22대 국회를 향해 초저출생·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대한민국에 ‘환자 중심 치료 환경 개선과 국민의 건강 수명을 연장하는 신약의 혁신가치가 반영되는 제약 생태계 조성’의 필요성을 주문했다. 여야 모두 총선 공약을 통해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을 적극 지원하고 중증·희귀질환 환자의 치료 접근성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만큼, 한국이 진정한 보건의료 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뒷받침을 촉구했다. KRPIA는 먼저 신약 접근성 강화를 통해 중증·희귀질환자들의 치료 사각지대 없는 한국형 맞춤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2월 발표한 제2차 국민건강보험 종합계획과 여야가 총선 공약을 통해 제시한 중증·희귀질환자 신약 접근성 개선을 위해서는 제도와 정책의 현실화 및 구체화 방안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는 의미다. 이를 위해 국민적 요구가 높은 중증·희귀질환 혁신의약품의 우선심사 대상을 확대하고, 초고가 혁신신약에 2024.05.28
멥스젠, BIO USA 2024 참석…'프로멥스∙나노칼리버' 해외 진출 본격화
멥스젠이 6월 3~6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BIO International Convention 2024(BIO USA)’ 참석한다고 28일 밝혔다. 멥스젠은 인간의 주요 장기 내 세포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모사한 미세생리시스템(MPS, microphysiological system; 생체조직칩, 오가노이드 칩 등 체외 장기 모델)과 다양한 종류의 나노약물 전달체를 고효율 및 고수율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바이오텍이다. 한국바이오협회와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주관하는 한국관 부스에서 작년 11월 세계 최초로 개발 및 출시한 장기 조직 배양 자동화 장비 프로멥스(ProMEPS)와 올 중순 출시예정인 나노입자 제조 장비 나노칼리버(NanoCalibur)를 미리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프로멥스는 3D 장기 조직 모델링을 위한 세포 주입, 세포 배양, 관류 형성 등 조직 장벽 배양 전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하고 완성된 조직의 품질도 2024.05.28
와이바이오로직스, 리가켐 바이오와 ADC 개발 위한 MOU 체결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와 항체약물접합체(ADC) 분야에서의 전략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두 기업은 ADC의 공동연구 및 개발을 더욱 강화하고, 글로벌 바이오제약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할 계획이다. ADC는 항체와 약물을 연결부인 링커(Linker)로 결합해 원하는 부위의 암세포를 정밀 타격하는 항암 기술이다. 효능이 높고 약물 독성은 낮아 차세대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다. 양사는 ▲신규 타깃 2종에 대한 ADC 공동연구 및 개발 ▲pH-감응항체 기반 ADC 공동연구 및 개발 ▲이중항체 기반 ADC 공동연구 및 개발 ▲단일 또는 이중항체 기반 항체-면역조절약물 접합체의 공동연구 및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2016년부터 이어져 온 협력과 혁신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양사는 DLK1을 표적하는 ADC 항암 후보물질인 YBL-001(LCB67)을 공동개발해 2020년 미국의 2024.05.28
승승장구 GLP-1 비만 치료제 입지 다지는 노보·릴리…후발주자들, 초기 임상 데이터로 추격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GLP-1 계열 당뇨병·비만 치료제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식을줄 모르는 가운데, 5월 다양한 업데이트 소식이 연이어 전해지며 시장을 들썩이게 했다. 이미 제품을 판매 중인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와 일라이 릴리(Eli Lilly and Company)는 생산 역량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제조 시설에 계속해서 투자하는 한편 추가 적응증 확보를 위한 데이터 및 장기 데이터도 연이어 발표하며 매출을 더욱 늘리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새로운 기업들의 도전장도 눈여겨볼 만하다. 후발 주자인 질랜드 파마(Zealand Pharma)와 로슈(Roche)는 베스트인클래스(best-in-class)를 노리며 후보물질의 초기 임상 결과를 공유했다.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는 GLP-1 치료제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새로운 항체 개발에 투자했다. 릴리, 미국 인디애나 제조시설에 총 90억달러 투자…젭바운드 API 제조역량 강화 릴리는 미국 인디애나 2024.05.28
샤페론, 나노바디의 인플루엔자 치료 효능 국제 SCI 학술지 등재
샤페론이 자체 개발한 나노바디 항체가 실험 동물의 폐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 억제 및 증상 완화에 대한 효능을 확인해 국제 학술지 바이오메디신 & 파마코테라피에 게재 승인됐다고 27일 발표했다. 샤페론과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나운성 교수 연구진 및 서울대 수의학과 송대섭 교수가 소장으로 있는 휴벳바이오 연구진이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알파카의 면역 체계를 활용해 개발한 나노바디 항체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마우스의 폐에서 바이러스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해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치료 효능을 보였다. 전 세계적으로 계절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독감 치료 시장은 2023년에 약 7조 원으로 추정되며, 2030년에는 약 8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점유율 1위인 타미플루는 2023년에 매출 기준으로 독감 시장의 약 27.6%(약 2조 원)를 차지했다. 계절성 독감의 유병률 증가와 이로 인한 타미플루 수요 증가로 인해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왔다. 캐나다 연 2024.05.27
큐리언트, Q901 ASCO 초록 공개..."안전성, 약물반응 검증으로 가치 상승"
큐리언트가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발표하는 CDK7 저해 항암제 'Q901'의 임상 1상 중간 결과 초록이 공개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발표에서 Q901이 암종에 상관 없이 투여된 모든 용량 구간에서 좋은 안전성을 보였고 최저 용량에서부터 임상적인 효과를 동반하는 표적 결합 수치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변동되는 것이 확인됐다. 대상자는 임상 참여 이전 평균 4회의 표준 치료를 진행했으나 재발된 이력이 있는 난치성 암 환자로, 전이성 난소암,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유방암, 자궁내막암, 대장암, 소세포폐암 및 췌장암 환자가 포함됐다. 18, 36, 60, 90㎎/㎡ 순으로 Q901 용량 증가에 따른 내약성, 약동력학, 표적 결합 마커의 변화, 영상에 따른 효능 등이 평가됐다. 모든 환자군에서 투여 용량과 관계 없이 뛰어난 내약성이 확인됐으며 혈장의 약동학적 분석 결과 약물 농도 지표가 약물 투여 용량에 맞춰 상승했다. 주요 대사체 발생 없이 약물대사가 이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4.05.27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