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립테크] 임신 말기 코르티솔 수치 높으면 생후 7개월 잠드는데 더 오래 걸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SLEEP 2023에서 발표될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임신 말기 코르티솔 수치가 유아 수면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수면학회(AASM)와 수면연구학회(SRS)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제37차 수면전문학회(Associated Professional Sleep Societies, APSS) 연례 학술대회인 SLEEP 2023가 3~7일(현지시간)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열린다. 미국 덴버대(University of Denver) 대학원생 멜리사 네바레즈-브루스터(Melissa Nevarez-Brewster) 연구팀은 이번 학회에서 '신생아 모발 코르티솔과 유아기 수면 건강'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사전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모발 샘플에서 코르티솔 수치가 높은 신생아는 생후 7개월에 잠드는 데 더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생아 모발 코르티솔은 임신 말기의 태아 코르티솔을 측정하는 지표다. 연구팀은 "유아기에 수면 건강이 좋지 않 2023.06.07
이엔셀, 셀레브레인과 ‘항암유전자 줄기세포치료제’ 위탁생산 계약 체결
이엔셀이 최근 셀레브레인과 '항암유전자 줄기세포치료제(MSC11FCD)'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MSC11FCD는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사용한 교모세포종(GBM) 유전자세포치료제로, 이엔셀 제1공장 GMP에서 올해 하반기 SIT임상 1/2상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을 목표로 임상시험용의약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셀레브레인은 뇌종양, 뇌졸중 등의 뇌질환을 대상으로 줄기세포에 기능성 유전자를 탑재한 유전자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고효율, 고순도의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유전자 도입기술, 분석 기술 등 제반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엔셀에서 2018년 위탁생산한 항암 유전자 줄기세포 치료제로 차병원에서 재발 교모세포종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자 임상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이엔셀은 2018년 장종욱 삼성서울병원, 성균관대학교 교수가 창업한 기업으로 15개 고객사, 25개 프로젝트의 임상등급시료를 생산하며 올해 매출 100억원(누적 280억원) 달성을 앞 2023.06.02
큐라티스, 공모가 4000원 확정…6월 중순 코스닥 상장 예정
백신 및 면역 질환 치료제 전문 기업 큐라티스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지난달 30~31일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공모가가 4000원으로 결정됐다고 2일 공시했다. 이번 수요예측에는 전체 공모 물량의 75%인 262만5000주 모집에 총 435건의 기관투자자가 참여하면서, 52.8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에 총 140억원의 자금이 이번 공모를 통해 조달될 예정으로, 확보되는 자금은 QTP101의 임상 2b/3상 진행에 주로 활용될 예정이다. 2016년 설립된 큐라티스는 성인 및 청소년용 결핵 백신 QTP101을 주력 파이프라인으로 개발 중이다. 현존하는 유일한 결핵 백신은 영유아 대상의 BCG로, 접종 후 10~15년이 지나면 백신 효과가 사라지는 한계점이 있다. 큐라티스는 이 BCG로 형성된 생체의 면역 반응을 부스팅하는 성인 및 청소년용 결핵 백신을 개발 중이다.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글로벌 통합 2b/3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았다. 큐라티스는 결 2023.06.02
앱클론, 국제세포치료학회에서 CD30 CAR-T 치료제 공동연구 발표
앱클론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23 국제세포치료학회(ISCT)에서 신규 타깃인 CD30 카티(CAR-T) 치료제에 대한 연구성과를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연구는 미국 펜실베니아의과대학 마르코 루엘라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행했으며, 앱클론은 타깃 단백질 CD30에 대한 카티 치료제용 항체를 개발하고, 카티 치료제에 적합한 항체를 선별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CD30은 림프구 세포의 표면에 발현되는 단백질로 호지킨스 림프종의 대표적인 질환 타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카티 세포의 유전자 조작을 통해 암세포 주변의 미세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도 함께 소개됐다. 카티 세포에서 BTLA(B- and T-lymphocyte attenuator) 단백질이 발현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혈액암에서의 카티 치료제 효과를 높이고, 고형암 환경에서도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BTLA 단백질은 PD-1 단백질과 같은 면역관문 단백질로도 알려져 있다. 앱클론은 펜실베니아 대학과 함께 2023.06.02
멥스젠, LNP 제조 플랫폼 사업 나선다…바이오 USA서 신기술 공개
사진: 멥스젠 mRNA-LNP 그래프. (왼쪽) 합성된 지질나노입자의 평균크기와 분자량 분포정도(PDI) 그래프로, 두 가지 크기의 지질나노입자가 높은 균일도로 합성됐다. (오른쪽) 지질나노입자 크기에 따른 mRNA 봉입율 그래프로, 두 가지 크기의 지질나노입자에서 mCherry와 Cas9 mRNA 모두 95% 이상의 봉입율을 보여준다(자료=멥스젠).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을 통해 메신저리보핵산(mRNA) 방식을 적용한 백신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면서 mRNA 백신의 임상적, 상업적 성공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mRNA 플랫폼은 개발 기간이 짧고, 효능이 입증됐으며 다양한 종류의 질병과 변종을 커버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코로나19를 넘어 다양한 질병을 극복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mRNA 기술이 각광받으며 약물전달기술인 지질나노입자(Lipid Nano Particle, LNP)도 함께 주목을 받고 있다. LNP는 RNA 유전자 백신과 치료 2023.06.02
와이브레인, 세계 경두개 전기자극 산업 표준 새 가이드라인에 국내 대표로 참여
와이브레인이 세계 경두개 전기자극 관련 산업 표준 가이드라인(LOTES)의 업데이트에 국내 대표 기업으로 참여했다고 1일 밝혔다. LOTES(Limited output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는 전 세계 뇌자극 분야에서 사용하는 국제 표준으로 경두개 전기자극 기술의 안전성과 효과를 보장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다. 2017년 처음 발표된 LOTES-2017 이후 업데이트 버전인 LOTES-2023이 올해 5월 발표됐다. 특히, LOTES-2023에는 미국은 물론 유럽과 한국 각국의 경두개 전기 자극에 대한 표준 및 규제를 포함한 최신 국제 표준 간의 합의가 포함됐다. 위험도가 낮은 웰니스, 일반 및 처방용 의료기기들에 대한 공학 원리, 규제 규정, 산업표준 등의 내용이 최신 경향에 맞게 새롭게 업데이트됐고, 이를 토대로 소아, 임산부 및 수유부에 뇌 전기자극(TES) 치료를 사용 시 경고 및 주의사항의 최신 기준이 마련됐다. 또한, 이번 업데이트 2023.06.01
한국BMS제약, 2023 '서울-BMS Innovation2 Challenge' 참여기업 모집
한국BMS제약이 서울특별시, 보건산업진흥원, 서울바이오허브와 진행하는 ‘서울-BMS 이노베이션 스퀘어 챌린지(Seoul-BMS Innovation2 Challenge)’에 참여할 국내 바이오 및 디지털 헬스 스타트업을 모집한다고 1일 밝혔다. 서울-BMS 이노베이션 스퀘어 챌린지는 한국BMS제약이 심각한 질병으로부터 고통받고 있는 환자들의 삶을 변화시키겠다는 비전 아래 혁신기술을 발굴, 육성하고자 기획한 오픈 이노베이션 파트너링 프로그램이다. 이를 위해 한국BMS제약은 2022년 서울특별시, 보건산업진흥원, 서울바이오허브와 공동의향서(LOI)를 체결해 국내 바이오·의료 분야 혁신을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관련 스타트업과의 파트너링 기회를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이번 챌린지에서 참여를 모집하는 지원 분야는 ▲종양질환 ▲혈액질환 ▲심혈관질환 ▲면역질환 ▲섬유화증 ▲신경과학 ▲중개의학 ▲세포치료 ▲디지털헬스 ▲연구조사기술 등 총 10개 치료 영역이다. 이는 국내 정부 기관과 연계 2023.06.01
엔트레스토, 국내 환자 리얼월드 데이터 분석 결과 사망 및 입원 위험 22% 감소
한국노바티스가 5월 20~23일 열린 유럽심장학회 심부전 학술대회(ESC Heart Failure 2023)에서 엔트레스토의 임상적 효과를 재확인한 PARADE-HF연구와 PARAGLIDE-HF 및 PARAGON-HF Pooled analysis가 발표됐다고 1일 밝혔다. 국민건강보험데이터 분석결과 RAAS 차단제 대비 사망 및 입원 위험 줄어 원주세브란스 기독병원 심장내과 유병수 교수는 22일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분석한 PARADE-HF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좌심실 박출량 40% 이하 심부전(HFrEF) 환자 중 엔트레스토 또는 RAAS 차단제를 처방받은 환자 9만여 명의 데이터 중 2만 6966명의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분석한 결과다. 연구의 1차 복합평가변수는 1년 시점의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또는 모든 입원, 2차 평가변수는 1년 시점의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과 1년 시점의 모든 입원 각각으로 정의했다. 분석 결과 1차 복합평가 2023.06.01
에이비엘바이오, 2023 BIO USA 참석한다
에이비엘바이오가 ‘2023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 BIO USA)’에 참가한다고 1일 밝혔다. BIO USA는 전세계 3000개 이상 기업과 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행사로, 5~8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컨벤션에서 여러 글로벌 제약사들과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 ‘그랩바디(Grabody)’가 적용된 핵심 파이프라인 개발 및 이중항체 ADC와 같은 혁신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한 미팅을 진행한다. 그 중에서도 ABL503(PD-L1x4-1BB), ABL111(CLDN18.2x4-1BB)의 경우 긍정적인 데이터와 함께 임상이 순항 중이며, ABL111은 10월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중간 데이터 발표가 예정돼 있어 활발한 논의가 기대된다. 연내 임상진입이 예상되는 ABL103(B7-H4x4-1BB) 역시 최근 B7-H4 타깃이 주목받으며 긍정적인 논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 2023.06.01
에스바이오메딕스, 기능성 스페로이드 세포치료제 치료기전 규명 논문 게재
에스바이오메딕스가 기능성 세포 스페로이드를 이용한 중증하지허혈 치료기전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액타 바이오머티리얼리아(Acta Biomaterialia)에 게재했다고 1일 밝혔다. 에스바이오메딕스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상헌 박사팀과 함께 기능성 세포 스페로이드(FECS, Functionally Enhanced Cell Spheroid)를 이용한 세포치료제의 세포생존율 향상에 관여하는 인자를 규명하고, 이를 통한 중증하지허혈 치료기전에 대한 연구 결과 논문을 게재했다. 액타 바이오머티리얼리아는 조직공학 및 재생의학 분야에서 권위를 인정받는 국제 학술지다. 기능성 세포 스페로이드 구현기술은 자가 구조화를 통해 치료기능이 강화된 3차원 구형의 조직체를 형성하는 기술로, 스페로이드를 구성하는 세포들의 효과 물질 생성능 및 생존율이 향상돼 세포치료제의 치료 효과가 더욱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이번 논문을 통해 치료 효과 증가의 주요 원인 중 세포 생존율 향상 원리를 규명했 2023.06.0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