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노믹스, 항노화·극노화 사업다각화 위해 '코스나인'과 업무협약 체결
클리노믹스가 23일 코스메틱 제품 제조회사 코스나인과 '바이오기반 뷰티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코스나인은 cGMP및 ISO기반의 제조라인과 품질관리시스템을 갖춘 화장품회사로 OEM, ODM 및 OCM기반의 제조기반을 갖춰가고 있는 코스닥상장업체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클리노믹스 박종화 의장과 코스나인 백광렬 대표는 바이오기반 항노화·극노화 화장품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및 제품개발을 하는데 상호 협력하기로 하고, 양사의 주요 연구진들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조속한 시일내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해 내기로 했다. 클리노믹스는 2월 건기식업체 코엔에프를 인수하면서 사업다각화를 진행해오고 있다. 특허를 활용해 사업화 할 영역으로 건기식과 화장품 사업분야를 선택했으며, 건기식은 관계사 인수를 통해 시작하고, 화장품 사업은 협업을 통해 진행한다. 박종화 의장은 암조기진단과 함께 항노화·극노화를 클리노믹스의 ‘사명’으로 선언하며 개발된 기술과 특허를 기반으로 사업화에 집중 2023.06.27
베링거, GLP-1 이중 작용제 비만 2상 업데이트…체중 20% 가까이 줄여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이 질랜드파마(Zealand Pharma)와 개발하고 있는 GLP-1 계열 비만 신약후보 물질 서보두티드(survodutide, 개발명 BI 456906)가 2상 임상시험에서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의 체중을 거의 19%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베링거인겔하임이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미국당뇨병학회 연례학술대회(ADA 2023)에서 제2형 당뇨병이 없는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서보두티드 2상 임상시험의 추가 데이터를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2상 임상에는 계획된 분석(무작위 배정 시 할당된 용량, 1차 평가변수)과 실제 분석(치료 종료 시 용량) 두 가지 분석이 포함됐다. 그 결과 4.8㎎ 용량(실제 치료 분석)으로 연구를 완료한 사람들은 거의 19% 체중 감소를 달성했다. 이전에 발표된 대로 계획된 치료 분석에서는 4.8㎎ 용량으로 무작위 배정된 무든 사람의 체중이 거의 15% 줄었다. 2023.06.27
셀트리온헬스케어, 프랑스 IBD 학회서 심포지엄 개최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유럽 주요 5개국 가운데 하나인 프랑스에서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분야 로컬 학회인 ‘IBD Exchange Congress’에 메인 기업으로 참여해 현지 주요 이해관계자(Key Opinion Leader, KOL)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마케팅 활동을 펼쳤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학회는 23~24일(현지시간) 이틀 동안 프랑스 앙브루아즈 파레 종합병원(GH Ambroise Paré)에서 진행됐으며, 최신 의료 트렌드 및 임상 정보, 처방 사례 등을 공유하면서 IBD 의료 환경을 발전시키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개최됐다. 행사에는 프랑스 IBD 분야 핵심 의료진 20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최고 권위자로 손꼽히는 프랑스 IBD 협회장이자 낭시대 병원(Nancy University Hospital) 소속 로랑 페이린-비룰레(Laurent Peyrin-Biroulet) 교수와 하트만(Hartmann) 병원의 요람 부닉(Yo 2023.06.26
코넥스트, 듀피트렌구축 치료제 임상1/2상 계획 美 FDA 승인
코넥스트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듀피트렌구축 치료제 CNT201의 임상 1/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아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글로벌 임상개발에 착수한다고 26일 밝혔다. 듀피트렌구축(Dupuytren’s contracture)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CNT201의 안전성과 유효성 및 약동학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듀피트렌구축은 손바닥 피부와 힘줄 사이의 근막에 콜라겐에 의한 섬유화가 진행되면서 손가락이 굽은 채로 고정되어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질환이다. 아직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고 주로 근막절제술과 같은 수술을 통해 증상을 개선하는데 그치고 있다. CNT201은 국소주사 방식의 비수술적 방법으로 듀피트렌구축을 치료할 수 있다. CNT201은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는 세계최초의 유전자재조합 콜라겐분해효소 치료제로, 글로벌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지아플렉스(Xiaflex, 성분명 CCH)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으로 개발되고 있다. 2023.06.26
큐라클, 美 FDA로부터 궤양성 대장염 신약 후보물질 2상 IND 승인
큐라클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CU104의 임상 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3일 공시했다. 큐라클은 CU104에 대한 글로벌 임상 시험을 계획 중이며, FDA의 IND 승인을 시작으로 유럽과 한국에서도 IND 승인을 받은 뒤 다국가 임상시험에 본격 진입할 방침이다. CU104는 DSS(Dextran Sulfate Sodium) 동물 모델에서 궤양성 대장염 1차 치료제인 5-ASA 대비 우월성을 확보했으며, DNBS(Dinitrobenzene Sulfonic Acid) 동물모델에서는 현재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JAK 억제제와 S1P 수용체 조절제 등 2차 이상 치료제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 최소 동등 이상의 효과를 확인했다. 큐라클에 따르면 염증성 장질환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IL-10 Knockout 동물모델 실험을 세브란스병원 소화기 내과 연구진에 의뢰한 결과, 대조군 대 2023.06.23
셀트리온, 첫 ESG 보고서 발간…ESG 활동 및 성과 수록
셀트리온이 23일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2/23 셀트리온 ESG 보고서’를 발간했다. 셀트리온은 체계적인 ESG 경영을 추진하기 위해 지난해 대표이사 직속 전담부서를 조직하고 이사회 산하 ESG위원회를 신설하는 등 ESG 거버넌스를 구축했다. 그동안 추진해온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공개하고 이해관계자와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창사 이래 처음으로 ESG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에는 셀트리온이 그동안 실천해 온 환경, 사회,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등의 노력과 앞으로의 중장기 계획이 담겼다. 또한 국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에 따라 작성됐으며 독립된 제3자 검증을 받아 보고서의 정확성과 대외 신뢰성을 높였다. 셀트리온은 이번 보고서에서 ESG 수준 진단을 통한 중점 개선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외부 환경·사회적 요인이 기업의 재무적 가치에 미치 2023.06.23
미국당뇨병학회 2023에서 눈여겨볼 GLP-1 비만 데이터는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삭센다(Saxenda, 성분명 세마글루티드) 출시 이후 비만 시장에서 GLP-1 계열 약물이 크게 각광받고 있다. 올해 미국당뇨병학회(ADA) 연례학술대회에서도 GLP-1 계열 약물의 체중 감량 효과와 관련된 연구 결과가 다수 발표되는 가운데, 경구용 세마글루티드인 리벨서스(Rybelsus)와 강력한 체중 감소 효과를 자랑하는 마운자로(Mounjaro, 성분명)의 데이터가 눈길을 끈다. 미국당뇨병학회는 23일부터 26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제83차 연례학술대회를 연다. 올해 학술대회에서는 190개 이상 세션과 2000개 이상 연구 프레젠테이션이 발표된다. 학회는 특히 새로운 비만 치료제 관련 주요 발표로 ▲SURMOUNT 2 임상시험 결과 및 제2형 당뇨병의 비만 치료에서 티제파티드의 잠재적 역할 ▲GIP·GLP-1·글루카곤 수용체 삼중 작용제인 레타트루티드(Retatrutide, 개발명 LY3437943)의 비만, 비알코올성지방간(NAFLD), 제 2023.06.23
마크로젠-크립토랩, 업무협약 체결...동형암호 기술 적용 나선다
마크로젠이 동형암호 기술 스타트업 크립토랩과 21일 유전체 데이터 동형암호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가졌다고 22일 밝혔다. 마크로젠은 크립토랩과 동형암호 기술의 유전체 데이터 분석 서비스 적용 확대를 위한 기술교육 및 공동연구를 진행하며, 기술 적용 결과 상호 공유 및 서비스 실증을 위한 협력을 지속한다. 이번 협력에 기반해 마크로젠은 유전자 검사로 질병을 예측하는 다중유전자 위험 점수(PRS) 분석을 시작으로 서비스 전 영역에 동형암호 기술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마크로젠 김창훈 대표는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사업 본격화를 앞둔 마크로젠은 항상 개인 의료 정보 및 유전자 정보의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두어왔다. 2021년 업계에서 유일하게 국내·국제 최고 수준의 보안 인증 3종을 모두 취득하는 등 엄격한 정보보호체계를 앞서 구축했다. 동형암호 분야 선두기업인 크립토랩의 기술을 유전체 분석 데이터에 접목시켜 내부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를 한층 더 두텁게 강화할 것이다"면서 "최 2023.06.22
메디스팬,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국책과제 선정
메디스팬이 2023년도 제2차 글로벌백신기술선도사업단의 백신 기반 기술 개발 분야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과제는 ‘플라젤린 기반 면역증강제 MSP-102를 포함한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의 개발’이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메디스팬은 TLR5 수용체를 타깃하는 MSP-102를 면역증강제로 개발하고, 면역 취약 계층에게도 안전하고 면역 유도가 가능한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을 개발해 임상 1상을 신청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1년 7개월 동안 연구개발비 21억1000만원 가운데 15억8000만원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아 비임상 과제를 수행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주요 감염 경로는 점막으로 알려져 있다. 점막 면역 유도로 일차적인 예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점막 면역을 활성화할 수 있는 허가받은 면역증강제는 아직 없다. TLR5 타깃 면역증강제의 특징 중 하나가 점막 면역 활성화인 만큼 MSP-102를 면역증강제로 활용하면 노령층 인플루엔자 예방과 기존 인플루엔자 백신의 2023.06.22
레고켐바이오, 'LCB84' 미FDA 임상시험 1/2상 승인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가 22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삼중음성유방암, 대장암 등 다양한 고형암을 표적하는 LCB84(TROP2-ADC)의 임상 1/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에서는 진행성 고형암 환자 약 300명을 대상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LCB84의 단일요법과 면역항암제와 병용요법에 대한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력학적 특성 및 예비효능을 평가한다. 1상 용량증대시험(Dose Escalation)에서는 최대 8개 기관, 2상(Dose Expansion)에서는 20개 기관까지 확대해 진행할 예정이다. LCB84는 다른 경쟁약물과는 차별적으로 암세포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잘린 형태의 TROP2항원을 타깃하고 있으며 레고켐바이오의 차세대 ADC플랫폼기술을 적용해 안정성 및 약효를 탁월하게 높인 약물이다. 지난해 미국암연구학회(AACR)와 올해 열린 월드ADC런던을 통해 경쟁약물들이 반응하지 않는 불응성암세포까지 효능을 보임과 동시에 TROP2가 발 2023.06.22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