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9.03.01 06:16최종 업데이트 19.03.01 06:16

제보

인공지능(AI)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개발, 과제는

과기정통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180억 투입 AI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개발 추진

“인공지능 접목보다 응급의료체계 확립이 우선...응급의료 데이터 통합 과제”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윤영채 기자] 최근 정부가 개발을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기반 응급의료시스템’이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최근 총 3년간 180억원 규모의 재정을 투입, ‘인공지능(AI)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개발·실증’을 위한 신규과제 공모에 나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인공지능(AI) 응급의료시스템 개발’ 사업으로 환자 이송시간 지체에 따른 고충을 해소해 치료 골든타임을 확보할 예정이다. 또한 환자상태·질환·중증도에 따라 맞춤형 진단·처치 서비스도 제공한다.

우선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중증외상, 심정지 등 4대 응급질환을 대상으로 응급의료 단계별 적용 가능한 ‘AI 구급활동 지원서비스’를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동시에 현재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 소방청, 응급실 등으로 흩어져 있는 응급의료데이터를 5G 기반으로 통합·연계·분석해 인공지능 학습이 가능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인공지능 응급의료시스템을 개발하겠다는 취지는 좋으나 국내 응급의료전달체계가 안정적으로 확립된 후 고려할 사항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A대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모든 현상은 양측면이 존재한다. 응급의료체계라는 것이 먼저 존재하고 그것을 인공지능과 접목해야 한다”라며 “우리나라는 아직 응급의료체계가 확립되지 못한 상태인데 인공지능과 어떻게 접목시킬 수 있을지 의문이다”라고 말했다.
 
응급환자가 적시에 최적의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 것은 국내 응급의료현장의 오랜 과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열린 ‘중증응급환자 사망을 줄이기 위한 응급의료체계 리폼(reform)토론회’를 통해 “일본의 예방가능 사망률은 10%, 미국은 15%인 반면, 우리나라는 두 배가 넘는 33%이다”라며 "응급환자가 최적의 시간에, 최적의 응급의료기관에서, 최적의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의료체계 리폼(reform)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다양한 기관에 흩어져 있는 응급의료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해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B대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인공지능 기반 응급의료시스템을 개발하겠다는 취지 자체는 좋으나 소방청, 응급실 등으로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아 충분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그간 과기정통부는 의료서비스에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의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8대 중증질환 중심의 맞춤형 정밀의료 솔루션 개발을 추진해왔다. 특히 올해에는 응급의료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응급의료시스템’에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신규과제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추진하는 AI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개발 사업은 과기정통부·보건복지부, 행안부, 소방청등 4개 부처가 개발에서 실증에 이르기까지 상호 협업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노경원 소프트웨어정책관은 “과기정통부에서 현재 개발 중인 맞춤형 정밀의료서비스(P-HIS, 닥터앤서)와 연계해 환자 증상에 가장 적합한 응급처치를 신속하게 제공할 예정이다”라며 “또 응급실을 잘못 찾아 다른 응급센터로 이송하는 등의 문제도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 응급의료시스템

윤영채 기자 (ycyoon@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