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2.14 11:55

물량 쏟아져도 청약 '썰렁'…커지는 미분양 공포




지난달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이 5만 가구 가깝게 쏟아지며 ‘역대급’ 기록을 세웠지만 청약시장 열기는 급속히 가라앉고 있다. 집값 하락 추세 속에 청약 미달 사례마저 속출하는 모양새다. 대출 규제, 금리 인상 등이 맞물려 주택구매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공급 과잉으로 인해 ‘미분양 사태’가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온다.
14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월간 건설부동산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 1월 분양물량은 4만8737가구로 집계됐다. 1년 전인 지난해 1월에 비해 66.8% 늘어난 수치로 1월이 비수기인 점을 고려하면 역대급이다. 2010년 이후 1월 전국 물량이 가장 적었던 2011년 물량 2991가구보다 16배나 많다. 건산연은 "잔금 대출에 대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로 인한 밀어내기 여파가 이어진 탓"이라고 설명했다. 올해부터 잔금 대출도 DSR 산정(40%)에 포함되면서 이 기준을 피하기 위해 지난해 말 입주자모집공고를 내고 이달에 청약을 받은 단지들이 많았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청약시장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월 전국 아파트 청약 경쟁률은 15.5대 1로, 지난해 평균(19.7대 1)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경쟁률은 31.0대 1에서 17.4대 1로 절반 가까이 하락했다. 특히 서울은 올 1월 34.4대 1로 지난해 평균 164.1대 1에서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방에서는 청약 미달 단지가 속출하고 있고 경기 지역에서도 민간청약 특별공급에서 미달이 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1월 경기 지역에서 분양한 8개 단지 가운데 4개 단지가 특별공급 전형에서 미달이 발생해 일반공급으로 물량이 넘어갔다.
미분양도 지난해 10월부터 3개월 연속 증가세다. ‘12월 주택 통계’를 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1만7710가구로 전월(1만4094가구) 대비 25.7% 증가했다. 수도권은 2.5%, 지방은 28.4% 늘었다. 상황이 이렇자 올해 지역별 공급 과잉으로 미분양 사태가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온다.
건산연은 보고서에서 "분양 물량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도록 금융을 비롯한 부동산 규제의 정상화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