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2.06 11:00

봉천13구역, 13년 만에 공공재개발로 사업 추진




봉천13구역에서 13년 만에 공공재개발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6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 따르면 봉천13구역은 지난달 28일 LH를 공공재개발 사업 시행자로 지정했다. 봉천13구역은 지난해 1월 공공재개발사업 선도 후보지로 선정된 이후, 같은 해 12월 주민동의율 70%를 확보한 바 있다.
공공재개발사업은 LH 등 공공시행자가 임대주택 공급확대 등 공공성 요건을 갖춘 경우, 각종 인센티브를 적용해 재개발을 추진하는 사업이다.
앞서 봉천13구역은 지난 2009년 정비구역지정 이후 주민 간 갈등, 추진위원회에 대한 주민 불신, 낮은 사업성, 공사기간 중 임대 소득 중단에 따른 생활고 우려 등으로 13년간 사업추진이 정체된 곳이었다. 특히 다음달에는 정비구역일몰제에 따라 정비구역 해제 위기에 놓여 있었다.
LH는 지난 1년간 직원이 현장에 상주하며 수시로 주민 상담을 진행하고, 추진위원회 및 비상대책위원회와의 끊임없는 소통, 서울시 및 자치구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13년간 쌓여있던 오랜 갈등과 문제점을 해결해 왔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용적률을 추가 확보해 사업성을 크게 개선시켰고, 지역의 가장 큰 현안이었던 공사에 따른 임대 수익 중단 문제를 주민이 원할 경우 총 사업 수익의 일부를 먼저 지급하는 방식으로 해결해 상가 비율이 높은 봉천13구역 주민들의 동의를 확보했다.




봉천13구역은 약 1만 3000㎡ 사업부지에 용적률 500%, 최고 27층으로, 상가 및 생활기반 시설 등이 포함된 주거시설로 재탄생될 계획이다.
주택은 기존 대비 2.6배인 460여 세대가 공급되며, 추가 건설되는 280여 세대는 일반공급 한다.
주택 평형은 주민 선호도를 조사해 주민이 원하는 평형으로 최종 확정하며, 지차제 협의를 거쳐 다양한 생활편의시설도 설치해 지역 주민의 편의성을 대폭 높일 예정이다.
LH는 올해 도시규제 완화 등 공공재개발 인센티브를 반영한 정비계획 변경을 신청하고, 오는 ’26년 사업 준공 및 입주를 목표로 사업에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한편, LH는 정부에서 발표한 서울지역 공공재개발 선도지구 24곳 중 신설1구역, 봉천13구역을 포함한 총 12곳에서 공공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신설1구역은 지난해 7월 LH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한 이후, 사전기획을 거쳐 올해 하반기 중 정비계획 변경 신청 예정이며, 남은 10개 구역에 대해서는 올해 초 사전기획을 거쳐 하반기에 정비계획을 입안하고 LH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할 예정이다.
LH 관계자는 “작년 신설1구역에 이어 이번 봉천13구역의 사업시행자로 지정됨에 따라 공공재개발 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며, “주민들과 지속적인 소통을 기반으로 현안을 해결해 공공재개발을 통한 도심 내 주택공급이 신속히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