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2.04 12:53

[류태민의 부동산 A to Z] 3개월 연속 늘어난 미분양 주택… 집값 하락 징조일까




[아시아경제 류태민 기자]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국 미분양 주택이 다시 늘고 있다. 일각에서는 집값 하락의 징조가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지만, 원인에 따라 미분양 종류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악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교통부가 4일 발표한 ‘12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1만7710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1만4094가구) 대비 25.7% 늘어난 수치로, 같은 해 9월(1만3842가구)부터 3개월 연속 증가했다.
그러나 증가한 미분양이 다같은 악성인 건 아니다. 미분양 물량은 원인에 따라 ‘준공 후 미분양’과 ‘미계약분’으로 나뉜다. 준공 후 미분양은 일반공급 2순위까지 청약 신청을 받았으나 공급 주택 수 대비 신청자가 부족해 발생한 물량이다. 이들은 대부분 가격·입지 등 경쟁성이 떨어지거나 가격 상승 기대감이 낮은 탓에 수요가 부족해 발생한 ‘악성 미분양’이다.
반면 미계약분은 가점 항목 입력 오류, 재당첨 제한, 자격 미달 등 사유로 부적격 판정된 물량과 예비당첨자 계약 이후 남은 잔여물량이다. 중도금을 연체하거나 또는 내지 않아 계약이 자동 해지된 것도 미계약 물량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비록 미분양 됐지만 잠재 수요가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해 주택경기 하락의 선행지표로 단언하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국토교통부 주택 통계를 살펴보면 전체 미분양 주택 수는 증가했지만 ‘악성 미분양’ 수는 감소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12월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수는 7449가구로 같은 해 9월(7963가구)보다 514가구(6.4%) 줄었다.
한편 최근 들어 대출규제로 인해 미계약분 비중이 크게 늘면서 수요 억제가 주택산업 활성화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달 20일 주택산업연구원이 내놓은 ‘1월 입주경기실사지수’ 자료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미입주 사유 중 ‘잔금대출 미확보’ 응답이 40.7%로 가장 많았다. 자신이 분양받은 아파트에 입주하지 못한 사람 10명 가운데 4명은 잔금대출을 받지 못해 들어가지 못한 셈이다.
송승현 도시와 경제 대표는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로 내집마련을 하지 못한 수요자들이 크게 늘면서 주택경기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최근에는 부동산 시장에 대한 미래 기대치가 낮아지면서 변심한 수요자들도 늘어나는 분위기라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류태민 기자 righ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