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임온유 기자] 서울 강남권과 여의도 일대 주요 재건축 추진 단지들의 거래가 꽁꽁 얼어붙었다. 정부의 대출ㆍ세금 규제와 2년 실거주 의무 규제 등의 여파로 눈치보기 장세가 이어지면서 매물잠김과 거래단절이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8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지난 6일 76.79㎡(이하 전용면적)가 22억2000만원에 매매된 것을 제외하면 이달 신고된 거래가 없었다. 대치ㆍ삼성ㆍ청담ㆍ잠실동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지난 6월23일 이후 7월에도 6건의 거래가 이뤄진 점에 비춰보면 눈에 띄는 위축세다. 심지어 송파구 잠실동 주공아파트5단지는 이달 단 한건의 매매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아파트는 지난달 5건의 거래가 이뤄졌었다. 서초구 반포동 반포주공1단지도 지난달 7건의 매매가 있었지만 이달엔 단 한건의 거래만 성사됐다.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의 신고기한이 남은 터라 이들 단지의 거래량은 더욱 늘어날 여지는 있다. 다만 재건축 실거주 2년 의무 규제 등의 영향으로 최근 강남3구(서초ㆍ강남ㆍ송파구) 재건축 단지들의 매물이 급감했다는 게 일선 중개업소들의 전언이다. 6ㆍ17 부동산 대책에 따라 2021년부터 수도권 투기과열지구에서 조합설립인가를 받는 재건축 단지는 2년 이상 실거주한 조합원만 입주권을 받을 수 있다. 대치동 A공인중개사무소(이하 공인) 관계자는 "2년 실거주 규제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등의 여파로 재건축 단지의 매력이 떨어진 게 사실"이라며 "은마의 경우 호가를 1억원 넘게 낮춰도 잘 팔리지 않는다"고 전했다.
부동산 정보업체 아실이 집계한 거래현황을 보면 잠실주공5단지 매물은 지난달 말 5426건이었으나 전날 기준 2490건으로 54% 급감했다. 같은 기간 은마의 경우 7714건에서 4203건으로 46% 감소했다. 정부의 부동산 허위매물 단속 이후 중개업소들이 매물 등록 자체를 꺼리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강남권과 더불어 재건축 추진단지가 밀집한 영등포구 여의도 일대는 아예 거래가 실종됐다. 광장ㆍ대교ㆍ삼부ㆍ수정ㆍ시범 등은 지난달 단지별로 5건 안팎의 거래가 있었으나 이달엔 단 한건의 거래 등록조차 없는 상태다. 이지역 B공인 관계자는 "정부가 최근 재건축 기대이익의 90%를 환수하겠다고 밝힌 이후 시장 분위기가 죽었다"라며 "조합설립인가가 임박한 일부 단지를 제외하면 사업 추진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재건축 단지 중심으로 눈치보기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재건축의 경우 신축 대비 전세가율이 낮고 전세를 끼고 산다고 하더라도 되팔때 상당한 양도세를 내야하는 상황"이라며 "정책이 실거주 중심으로 이뤄지는 탓에 직접 살아야 하는 수요자가 아니면 찾지 않기 때문에 구입을 꺼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