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지난해 소비자물가가 연간 2%대 중반으로 치솟으면서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번 주 '물가 안정'에 초점을 맞춘 설 민생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당분간 고물가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예년보다 민생대책 발표 시기를 앞당긴 것이다.
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이번 주 중 설 민생안정 대책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설 성수품도 지난해보다 1주일 이른 명절 3주 전부터 공급할 방침이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차관은 "전 세계적으로 물가 상승세가 확대된 가운데 설을 앞두고 장바구니 물가에 대한 부담이 커지며 물가·생계부담 완화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통계청이 지난주 발표한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에 비해 2.5% 올라 2011년(4.0%) 이후 10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냈다. 실질적인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대비 3.2% 올랐고, 이 역시 2011년(4.4%) 이후 최고치다.
농축수산물이 1년 전에 비해 8.7% 뛰면서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나타냈고,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공업제품(2.3%)과 서비스(2.0%) 물가도 일제히 뛰었다.
특히 이 같은 고물가 기조는 올해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여 물가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정부가 발표하는 설 민생대책에는 설 연휴를 앞두고 16대 성수품을 비롯한 물가 안정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서민 생활물가 안정을 최우선으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