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1.02 08:20

올해 가계대출 최대 97조…작년보다 13조원 줄어든다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금융당국의 가계 부채 관리 강화에 따라 올해 가계 대출 증가 규모가 최대 97조원 선에서 묶일 것으로 보인다. 전년보다 13조원 이상 줄어들 수 있어 가계 대출 받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2일 금융당국 속보치와 전망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1628조원대로 추정된다. 2020년 말 잔액보다 110조원(7.2%) 정도 증가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아직 연말 기준 집계가 나오지 않았지만 지난달 가계대출 잔액 증가액은 전달(작년 11월)의 절반에 못 미치는 규모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작년 11월 금감원 속보치 기준 가계대출 증가액은 5조9000억원이다.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율은 2020년보다 0.8%포인트(p)가량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2020년에는 가계대출이 112조3000억원, 8.0%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작년 가계부채 증가율을 5~6%대로 관리하려 했으나 전세대출을 총량 관리에서 제외하고, 집단대출을 계속 공급하는 등 '실수요' 대책을 시행하면서 증가율이 7%를 넘겼다.
지난해 7월까지 가계대출 증가액은 월평균 11조원을 웃돌았으나 금융당국의 강력한 총량 관리가 시행된 8월 이후 증가 속도가 둔화했다.
아울러 작년 말 가계대출 잔액과 금융당국의 올해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목표치 4~5%대를 고려하면 올해 공급량은 65조~97조원 선에 그칠 전망이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지목되는 가계부채의 관리강화를 일관되게 추진하겠다"며 "총량 관리에 기반하되, 시스템 관리를 강화하면서 가계부채 증가세를 4~5%대로 정상화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달부터 차주별(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강화돼 개인별 대출액이 2억원을 초과하면 연간 원리금 합계가 연소득의 40%(비은행권에서는 50%)를 넘을 수 없다. 7월부터 총대출액 1억원 초과자로 규제가 확대된다.
전세자금대출은 차주별 DSR 산출에 반영되지 않는 데다 지난 1년 새 전셋값이 크게 올라 계속 늘어날 수 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