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기하영 기자]올해 1~3세대 실손의료보험 보험료가 평균 14.2% 오른다. 지난해 6월 이전 가입한 1~3세대 실손보험 가입자 3500만명의 보험료가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1세대 구 실손보험(2009년 9월까지 판매)과 2세대 표준화실손보험(2009년 10월~2017년 3월 판매) 보험료가 평균 16% 인상된다.
2017년 4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공급된 3세대 신실손보험은 2020년부터 2년간 적용해왔던 한시적 할인혜택이 종료되면서 평균 8.9% 오르게 된다. 지난해 7월 출시된 4세대 실손보험은 보험료에 변화가 없다.
다만 올해 보험료 인상률은 가입자 안내를 위한 전체 보험사의 평균적인 수준으로 모든 가입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인상률은 아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가입한 상품의 종류·연령·성별과 보험사별 손해율 상황에 따라 실제 개별 가입자에게 적용되는 인상률은 다를 수 있다"며 "보험료 갱신시기가 도래하면 보험사에서 서면, 이메일, 카카오 알림톡 등으로 발송하는 보험료 갱신안내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갱신 주기가 3~5년인 1·2세대 상품의 경우 3~5년치 인상률이 한꺼번에 반영되므로 갱신 주기가 도래한 가입자는 내년에 보험료가 30% 이상 오를 수 있다. 특히 50대 이상 고령층은 50%를 웃도는 고지서를 받을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보험업계는 4세대 실손보험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6개월간 1~3세대 가입자가 4세대로 전환할 경우, 향후 1년간 납입보험료를 50% 할인키로 했다. 단 현재 가입하고 있는 보험회사의 상품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한한다. 4세대 보험료 할인을 시작하는 시기는 보험업계가 협의를 거쳐 추후 안내할 예정이다.
40세 남성 기준으로 1세대와 2세대 가입자의 내년 보험료는 각각 월 4만7310원과 2만8696원이지만 4세대는 1만1982원이다. 여기에 4세대로 전환하면 1년간 50%가 더 할인된다.
다만 실제 전환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기존 실손보험과 4세대 상품은 보험료뿐만 아니라 보장 내용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본인의 의료이용량과 경제적 부담 등을 충분히 고려해 4세대 전환을 결정해야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손해보험의 경우 연말까지 실손보험 손해액이 3조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급격히 늘고 있는 손실규모 때문에 당초 보험업계에서는 1~2세대 상품에 대해 20% 인상을 요구해왔다.
기하영 기자 hyki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