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12.24 14:09

"LNG 구매단가 높이겠다"…발전사 날벼락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한국가스공사가 국내 5개 화력발전사들에 대해 내년 1월부터 발전에 필요한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비용을 올리기로 하면서 발전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가스공사는 발전사들과 장기계약을 하고 LNG를 공급하는데, 초과 수요가 발생할 경우 상대적으로 비싸게 구매하는 현물에 대해선 발전사 비용부담을 늘리라고 한 것이다. 내년 1분기 전기료 동결 결정에 국제 천연가스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상황을 감안하면 발전사 실적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정책에 따라 LNG 발전을 늘리고 있는 발전사에 부담만 떠안긴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24일 발전업계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천연가스공급규정을 개정했다. 규정에는 발전용요금(평균요금제) 원료비 연동제 시행지침이 있는데, 가스공사는 ‘원료비 단가 산정 시 발전용 공급에 소요되는 도입 금액과 도입 물량을 천연가스 수급 등 인과관계에 따른 적절한 배부기준에 의해 적용한다’는 문구를 삽입했다.
공사 관계자는 "내년 1월1일부터 장기계약 이외 LNG 초과 수입량에 대한 별도의 요금체계가 시행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지금까지는 초과수입물량 단가를 장기계약 단가와 연동해 평균으로 산정해 사용량만큼 요금을 정산하는 구조였다면 내년부턴 초과수입분만 고려해 요금을 청구하겠다는 뜻이다. 장기계약분 가격이 시세보다 저렴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발전사 입장에서는 연료비 구매비용 부담이 커지는 것이다.
가스공사는 정부가 세우는 천연가스 수요전망과 이에 따른 도입전략 등 공급설비 계획을 담은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을 기반으로 장기계약을 통해 LNG를 수입한다. 또 매년 1년 단위(4월~다음해 4월)의 수급계획을 세우고 장기계약물량과의 차이를 현물시장에서 구입한다. 특히 올해의 경우 당초 440만t을 현물시장에서 구입할 계획이었지만 발전 수요가 늘면서 400만t을 추가로 구매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LNG업계에 따르면 장기계약 물량의 단가는 MMBtu(100만 영국 열량단위)당 13달러 수준이지만 스팟가격은 40달러대로 3배 이상 비싸다. 새 규정대로라면 1MMBtu당 20달러 후반대에 구매했던 추가 물량을 40달러대에 사야 하는 셈이다.
가스공사는 기존 정산구조에서는 LNG가격 급등으로 도시가스부문까지 비용 압박이 심화되고 있어 개선차원에서 마련한 것이라는 입장이다. LNG 수요 증가는 발전용이 대부분인데, 도시가스요금까지 덩달아 오르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얘기다. 공사 관계자는 "LNG현물 가격이 오르면서 결국 도시가스 사용자인 국민부담이 커지게 된다"며 "이는 용도별 원가주의에 맞지 않기 때문에 초과 구매비용을 유발한 주체가 부담하라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발전업계는 현물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갑자기 부담을 요구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맞지 않다고 맞선다. 산업부 원자재가격정보에 따르면 LNG 현물 수입가격은 지난해 11월 t당 312.07달러에서 올 11월 현재 799.32달러로 뛰었다. 특히 최근 1달 사이에만 130.5달러(19.5%) 상승했다.
업계는 또 정부의 친환경에너지 정책과도 역행하는 결정이라는 입장이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올들어 11월까지 LNG 발전으로 생산한 전력거래량은 14만9310GWh로 지난해 전체 거래량(14만1162GWh)을 이미 넘어섰다. 반대로 석탄(유연탄) 발전량은 2019년 21만5282GWh에서 올해(1~11월) 16만9798GWh로 줄었다. 9차 전력수급계획(2020~2034년)에 따르면 LNG설비용량은 2034년 58.1GW로 늘어나게 되는데, 연료비 부담만 커지게 됐다는 것이다.
LNG 도입비용이 늘어나면 발전공기업의 수익 악화는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발전 5개사는 지난해 LNG발전부문에서 총 2354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 천연가스 가격 강세와 연간 전기료가 한푼도 오르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발전사 실적은 악화일로를 걸을 전망이다.가스공사는 최근 발전업계를 대상으로 규정 개정과 관련한 설명회를 갖고 반발 무마에 나섰다. 하지만 발전업계는 시행시기 유예 등을 주장하며 한전과 함께 공동대응에 나선 상태다.
발전사 관계자는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징검다리로 LNG발전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LNG 가격 급등 부담까지 떠안는 것은 정부 정책에 역행하는 꼴"이라며 "적어도 LNG가격이 안정화할 때까지는 시행시기를 유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종 =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