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정부가 25만대 수준인 전기·수소차 등 무공해차량 보급을 내년에 누적기준 50만대로 두 배 늘린다. 이를 위해 2조40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무공해차량 보급을 늘리기 위해 구매 시 보조금을 100% 지급하는 승용차 금액 기준을 6000만원에서 5500만원으로 500만원 낮출 방침이다.
정부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무공해 자동차 전환 가속화 방안'을 논의했다.
무공해차 보급규모는 2019년 9만6000대에서 지난해 14만9000대로 늘었고, 올해 11월까지 24만8000대로 확대됐다. 홍 부총리는 내년 50만대 보급을 위해 "무공해 승용차 16만5000대에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 버스·택시·화물차 등 상용차 9만대를 무공해 차량으로 추가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인프라 확대 차원에서 전기차 충전기 6만기를 추가 설치키로 했다. 수소충전소는 300기 이상 확대한다. 홍 부총리는 "상용차 추가 전환 지원과 전기차 충전기, 수소차 충전소 확대를 통해 친환경차량의 충전서비스 편리성도 높이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공공 부문 무공해차 의무 구매 비율도 100%로 높일 방침이다. 민간 부문은 대규모 차량 보유 사업자를 중심으로 친환경차 구매목표제를 도입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개인 건강정보 활용 지원안'도 논의해 2023년까지 본인 동의 하에 개인 건강정보를 통합·활용할 수 있는 '건강정보 고속도로 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홍 부총리는 "최근 고령화·디지털화 추세에 발맞춰 개인 통합 건강정보를 활용해 맞춤 의료서비스와 정밀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내년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시스템 분야에 4400억원의 재정을 투입해 지원하고, 연구개발(R&D)·시설투자 세제지원도 지속하기로 했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