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2050년까지 탄소순배출량을 0(제로)로 맞추기 위해선 발전소 단위에서만 모두 2634조원 이상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일 경우 발전단가도 현재보다 40% 이상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 에너지 비용 부담이 중장기적으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안영환 숙명여대 기후환경에너지학과 교수가 최근 한국전력거래소에 제출한 ‘장기저탄소 발전전략 수립을 위한 발전부문 온실가스 감축수단에 관한 연구’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발전소 단위에서 소요되는 비용은 총 2634조3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안 교수의 비용 추산 기준은 2050년 발전 비중목표 원자력 6.1%, 석탄·LNG 0%, 재생에너지 70.8% 등에 따른 것이다. 정부가 지난 10월 최종확정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안 두가지 가운데 하나다.
안 교수는 2050년까지 발전소 단위 설비비와 운영비, 연료비용, 탄소비용을 포함한 비용을 종합한 시스템 비용을 추산했다. 설비비에는 석탄화력발전소의 폐지 및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전환, 태양광·풍력 등 확대 등을 고려했다. 운영비는 설비비의 4∼10% 수준으로 운영기간 동안 반영했다. 연료비는 연도별 연료비에 발전기별 열효율, 연료사용비율, 발전량을 반영해 산정했다. 또 시나리오별 발전믹스에 따른 t당 탄소비용 전망을 바탕으로 에너지사용량을 곱해 탄소비용도 산정했다. 3안의 탄소비용은 207조9000억원으로 총 시스템비용의 7.9% 수준이다. 다만 총 비용에는 송배전 설비투자 및 운영 비용 등 계통비용이 빠져 있어 이를 포함하면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발전부문 비용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안 교수는 "본 연구의 비용 절대값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위한 발전설비에 대한 다양한 연구결과의 비용전망을 활용한 것"이라며 "또 추산한 총 비용은 현재가치로 환산해 산출한 것으로, 실제 실현되는 미래 총 비용은 더 높거나 낮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2050년 발전단가도 현재보다 41% 이상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2021년 약 82원/kWh(킬로와트시)에서 2050년 115.1원/kWh으로 41.7%로 오를 것으로 추산됐다. 다만 발전단가는 2039~2040년(119.4원/kWh)으로 정점을 기록한 후 소폭 낮아 질 것으로 봤다. 신재생 설비 비중이 증가하면 연료비와 탄소비용이 축소되면서 발전단가가 하락세를 보인다는 전제에 따른 것이다.
이번 전력거래소의 연구결과를 포함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각 부문에서 필요한 비용이 속속 발표되고 있지만 정부는 ‘30년 후 미래 시점의 비용을 현재 시각으로 추산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비용에 대해 함구하고 있다. 탄소중립 실현 과정에서 감수해야 할 고통, 즉 얼마 만큼의 비용을 국민들이 부담해야하는 지를 밝히지 않은 채 탄소중립의 당위성만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한국원자력학회장)은 "에너지를 포함해 산업 등 각 부문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선 미래기술 개발·상용화 가능 여부가 핵심이기 때문에 비용추산이 어려운 점은 분명히 있다"며 "하지만 탄소중립을 위해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고 이는 결국 국민 부담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국민적 공감대를 얻기 위해선 정부 차원에서 대략적이라도 탄소중립 실현에 비용이 얼마나 소요되는지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