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0.08.23 11:06

스마트시티 기술 통해 안보·대형 재해 대처능력 높인다

스마트도시 통합운영센터의 폐쇄회로(CC)TV를 활용한 군 작전통제·훈련 지원 서비스 개념도 (제공=국토교통부)



[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안보 긴급상황이나 대형 재해 발생 시 군 부대의 작전 수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스마트도시 통합운영센터의 폐쇄회로(CC)TV가 적극 활용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와 국방부는 지난 21일 국가안보와 관련해 긴급상황이 발생하겨나 군 작전·훈련 또는 재난대응이 필요한 경우 군부대가 지방자치단체의 CCTV를 활용해 제 때 대처할 수 있도록 '스마트도시 안전망 구축 업무협약(MOU)'를 맺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군 병력을 지휘·통제하는 군부대 상황실과 지자체 스마트도시 통합운영센터 간의 연계망을 구축함으로써 센터의 CCTV 영상정보를 실시간 공유·활용해 군 작전 정보 분석 및 통제를 지원하고 훈련지원·재난대응 등 공조체계를 강화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는 작전이나 돌발상황 중 군부대 관계자가 스마트도시 통합운영센터를 직접 방문해 CCTV 영상을 확인해 반출하고 있어 군이 상황 초기에 적시 대응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 하지만 앞으로는 군부대 상황실에서 CCTV 영상정보를 바로 확인해 현장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는 한편 관련 정보를 작전부대에 즉시 제공함으로써 지휘통제 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부대의 작전수행 능력도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단 CCTV 정보는 개인정보 보호 차원에서 평시에 항상 제공되지는 않는다. 법령이 허용하는 국가안전보장 및 지역재난대처에 관련되는 통합방위사태 선보, 경계태세 2급 이상 발령, 정부훈련, 한미연합연습, 테러발생, 재해·재난, 구급상황 발생 등에 한해 제공된다.
국토부는 올해 일부 군부대와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이 구축된 서울시와 경기 용인시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한 후 내년 하반기 중 관련 서비스를 전국 지자체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익진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산불·홍수 등 재난사태 대응에 있어 군의 역할이 커지고 있는 만큼 이번 협약을 통해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이 국가안보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안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국민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해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과 다른 분야의 연계사업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