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여당이 꺼내든 ‘다주택자 양도소득세(양도세) 완화’ 카드에 국민 절반 이상이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권 지지층의 반대 비율은 70% 이상이었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다주택자 표심을 공략하려는 여당의 전략에 압박요인이 될 전망이다. 종합부동산세 완화 방침에는 찬성한다는 응답이 앞섰다. 정부 만류에도 불구하고 여당이 밀어붙여 국회를 통과한 ‘가상자산 과세유예’에 대해서도 ‘선거를 의식한 잘못된 결정’이라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다.
아시아경제가 올해 경제정책 평가를 위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기준 완화안에 대한 의견을 묻는 항목에 전체 응답자의 51.6%가 ‘반대한다’고 밝혔다. ‘찬성한다’는 의견은 36.0%에 그쳤고, ‘잘 모름’이라고 답한 비율은 12.4%였다. 특히 대통령 국정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여권 지지층에서 반대 비율(71.3%)이 찬성(18.3%)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연령별로는 40대(61.0%), 지역은 강원·제주(66.7%)와 호남권(59.2%)에서 반대여론이 강했다.
종합부동산세 완화 주장에는 ‘찬성한다’는 응답이 44.2%로, ‘반대한다’는 응답(39.5%)을 앞섰지만 오차범위 내라는 점에서 찬반여론은 팽팽하다는 평가다.
정부 반대에도 불구하고 여야 합의로 국회를 통과한 ‘가상자산 과세 1년 유예안’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6.6%가 ‘선거를 의식한 잘못된 결정’이라고 답했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 명목으로 대출을 급격히 죄는 등 규제에 나선 데 대해서는 ‘실수요자 보호를 위해 대출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전체의 60.2%를 차지했다. ‘대출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답변은 32.0%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아시아경제가 윈지코리아컨설팅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를 대상으로 지난 4~5일 실시됐으며, 1012명이 응답해 전체 응답률은 7.3%다. 조사방법은 무선 자동응답전화(ARS)로 휴대전화 가상번호 100%이며, 표본은 2021년 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값 부여(셀가중)로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조사 개요는 윈지코리아컨설팅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세종=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