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임온유 기자] 수도권 기초단체장 4명 중 1명은 주택 2채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0일 "공직자 재산공개 관보 등에 올라온 전체 자산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를 포함한 수도권 기초단체장 65명의 24%가 다주택자였다"고 밝혔다. 올해 보궐선거를 통해 당선된 안성시는 재산공개가 안 돼 분석에서 제외됐다. 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61명, 미래통합당 4명이다.

◆백군기 용인시장 14채 보유= 수도권 기초단체장 본인과 배우자의 주택 보유 현황을 보면, 집을 2채 이상 보유한 단체장은 16명(24%)이다. 이 중 3채 이상 보유자는 5명이었다. 무주택자는 15명이었다. 주택 수로는 백군기 용인시장이 총 14채의 주택을 보유해 최다 주택보유자에 올랐다. 백 시장은 서울 서초구 아파트 1채와 배우자 소유로 용산구 연립주택 13채를 보유했다. 서철모 화성시장은 총 9채를 보유해 뒤를 이었다. 서 시장은 충청도 소재 단독주택 1채, 고양시와 군포시 등에 소규모 주공아파트 8채를 보유했다. 경실련은 "재개발 또는 재건축이 진행될 수 있는 지역으로 판단되기에 부동산 투기에 대한 의심을 걷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밖에 성장현 용산구청장과 문석진 서대문구청장이 각각 4채씩 보유했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3채를 보유해 3주택 이상 보유자 명단에 올랐다.
◆평균 부동산 재산 10억8000만원=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신고된 금액으로 따져볼 때 부동산 재산이 가장 많은 기초단체장은 76억여원을 신고한 김영종 종로구청장이었다. 정순균 강남구청장(70억1000만원), 조은희 서초구청장(50억1000만원), 엄태준 이천시장(47억원), 백군기 용인시장(40억원) 등의 순이었다.
수도권 기초단체장의 평균 신고재산은 15억4000만원이었고, 그중 부동산 재산은 평균 10억8000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중 부동산 신고재산 상위 10명은 1인당 평균 39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63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단지 모습./김현민 기자 kimhyun81@
경실련이 국민은행 부동산 시세 등을 활용해 수도권 기초단체장 65명 중 아파트(분양권 포함)나 오피스텔을 보유한 35명의 부동산 시세 변화를 조사한 결과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이후인 2017년 5월~2020년 7월 1인당 평균 2억9000만원(4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와 송파구에 각각 아파트와 오피스텔 1채를 보유한 강남구청장의 해당 부동산 시세는 33억8000만원에서 46억1000만원으로 12억3000만원이 올라 가장 상승 폭이 컸다. 시세 증가액 기준 상위 10명을 보면, 이 기간 1인당 평균 7억원이 올랐으며 상승률은 53%였다.
경실련이 아파트나 오피스텔을 보유한 35명의 재산에 대해 올해 3월 신고가액과 7월 시세를 비교했을 때, 시세반영률은 56%에 불과했다. 경실련은 "집값은 빠르게 오르는데 시세반영을 못 하는 공시가격으로 신고하기 때문에 재산 축소 공개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기초단체장을 포함한 고위 공직자들은 솔선수범해 시세반영액으로 재산 신고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