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문호남 기자 munonam@
[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직원들이 당정에 SH공사 보유 부지에 주택을 공급하자고 제안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SH공사 노동조합은 전날 더불어민주당의 이해찬 대표와 김태년 원내대표,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이같은 내용을 담은 건의서를 보냈다.
SH공사가 보유한 서울 내 택지지구 용지는 중랑구 신내동(학교용지), 구로구 오류동(학교용지), 은평구 진관동(학교용지), 서초구 신원동(체육시설) 등 19개 필지, 12만2671㎡다. 이 부지에 49㎡(전용면적), 용적률 300% 기준 약 5000가구를 공급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용적률 500%를 적용할 경우 최대 8000가구까지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특히 이들 가운데 신내동 부지는 SH공사 이전 부지로 검토되고 있는 곳이다. 그러나 부지 면적, 공급 가능 가구 수, 소요 시간 등을 고려할 때 SH공사가 이전한 후 현재 사옥을 다시 활용하는 것보다 이 방식이 더 효율적이라는 설명이다.
이우용 노조위원장은 "정부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신속한 추가 공급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추가로 발굴하려는 부지들은 긴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며 "(SH공사가 보유한 부지 상당수는) 전력, 가스, 교통 인프라 등 기반시설이 다 갖춰진 상태여서 용도변경 등을 거쳐 즉시 착공, 2년 반 정도면 입주가 가능하단 강점이 있다"고 말했다. 신내동 부지만 놓고 봐도 1만3000㎡ 규모여서 소형 분양·임대 기준 800~1000가구가 들어설 수 있다고 봤다. 양원지구, 신내2지구 등 주거단지 인프라도 공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정부는 서울 등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 방안 발표를 앞두고 도심 고밀 개발, 공공 재개발·재건축, 유휴부지 등 신규택지, 3기신도시 용적률 상향 등 안을 구체화하고 있다. 공공 분양이 '로또'로 전락하지 않게 하기 위한 '지분적립형' 등 분양 방식도 함께 검토 중이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