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0.07.19 11:37

서울시, TF 구성해 정비사업 지원…이달 1만1000가구 공급 목표

[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서울시가 막바지 단계에 접어든 정비사업 지원에 힘쓰고 있다. 정비사업 지원을 통해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되는 이달 말까지 1만1000여 가구가 공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관리처분인가를 받은 정비사업이 분양까지 막바지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지원 중이라고 19일 밝혔다.
관리처분인가는 정비사업 이후 건물과 대지에 대한 조합원 간 자산배분을 확정하는 과정이다. 관리처분 인가가 완료되면 입주민의 이주, 기존 건축물의 철거, 착공, 입주자 모집 등이 시작된다.
서울시는 정비사업을 통한 주택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관할 자치구, 조합이 공동 참여하는 민관협업체계인 '정비사업 지원 태스크포스(TF)를 운영중이다. 지난해 12월 정부가 발표한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따라 서울시가 주관하고 있다.
TF는 정비사업 구역별 추진 현황을 점검해 문제점을 공유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정비계획 변경에 따른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구조·굴토심의, 사업시행·관리처분계획 변경인가 등 행정 절차도 돕는다.
계획 변경, 심의 등 정비 사업 속도를 늦추는 요인이 되는 절차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행정력도 집중한다. 이밖에 현장을 방문해 추진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이나 요청 사항 등도 적극 청취한다.
TF 지원을 통해 현재 화곡1구역, 흑석3구역, 개포주공1단지 등 10개 정비구역에서 약 4000가구가 입주자모집 승인 신청을 마쳤다. 상한제 유예가 끝나는 오는 28일까지 추가로 10개 구역이(약 7000가구 규모) 입주자모집 승인신청을 완료할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관리처분계획 인가 이후 공사가 완료되기까지 2~3년 정도가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이르면 2023년부터 입주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건축본부장은 "정비사업을 통한 양질의 주택공급이 차질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분양가상한제 시행 이후에도 TF 운영을 지속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