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 류마티스 연구팀 쇼그렌 증후군 염증 반응 매커니즘 규명

국내 연구진이 쇼그렌증후군(Sjögren's syndrome)의 염증 반응 매커니즘을 규명했다.

가톨릭대학교 류마티스내과 곽승기·정승민 교수팀은 IL-33*과 ST2수용체**가 쇼그렌증후군의 염증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IL-33(Intelukin-33) :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단백질, **ST2 수용체 = Interleukin 1 receptor-like 1(IL1RL1) receptor  

 

연구팀은 쇼그렌증후군 환자 55명과 정상인 대조군 48명의 혈액 검사와 침샘 조직검사를 비교한 결과, 환자군의 혈액과 침샘조직내 IL-33 & ST2수용체 농도가 정상인보다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쇼그렌증후군은 침샘과 눈물샘같은 외분비선을 림프구가 파괴하여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침샘과 눈물샘의 기능이 떨어져 입마름과 안구건조를 유발하며 근육통이나, 만성 소화장애, 기관지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연구팀은 IL-33과 ST2수용체의 상호작용이 다른 류마티스 질환을 유발하는 것에 착안하여, 환자군의 혈청 및 침샘 조직에서 IL-33과 ST2수용체의 발현이 증가하고 질병의 경과 & 활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밝혔다.

 


쇼그렌 증후군 환자와 정상인의 혈액내 IL-33과 ST2 의 농도

 

  

질환의 결과 및 활성도에 따른 혈액 내 ST2의 발현


곽승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쇼그렌증후군에서 IL-33과 ST2의 역할을 밝힘으로써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The Journal of Rheumatology’에 게재되었다.  

 

이전글 화이자, 17조에 호스피라 인수
다음글 한미약품, 정부 금연 치료 정책에 맞춰 '니코피온'(부프로피온, Bupriopion Hcl 150mg) 출시